[길섶에서] 편지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편지 단상/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2-25 00:00
업데이트 2014-02-25 03: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인 아들이 산골 부모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방송에서 보다가 편지 추억을 회상했다. 아들은 편지지에 군 동료와 함께 찍은 사진을 붙이고 안부 글을 담았다. 사진에서 모든 걸 보여주려는 듯 내용은 의외로 간단했다. 신세대의 안부 수단은 역시 글이 아닌 듯하다. 끙끙대며 썼던 첫 연애편지 소동이 머리를 스쳤다. 편지가 동명이인에게 배달돼 얼굴이 화끈거렸던 일이다. 누군들 공들였던 편지 추억 한둘이 없을까 싶다.

편지 단상은 편지봉투로 이어졌다. 편지를 주고받는 일이 뜸하다 보니, 변두리 저편으로 나앉아버린 게 편지봉투다. 경조사용이 아니면 쓰임새조차 찾기 힘들어졌다. 제아무리 세상이 변해도 편지에 얽힌 추억은 잊히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데···. 경주 리조트 붕괴사고로 숨진 학생의 아버지가 “원망은 거두자”며 탄원서와 같은 편지를 썼다고 한다. 아버지는 “딸아이를 대신해 쓴 연서로 봐달라”고 했다. 숙연해진다. 남북한 이산가족 만남의 행사가 진행 중이다. 통곡을 하고 헤어지는 모습을 보며 편지를 생각한다. 이산가족이 편지라도 주고받을 통로는 못 만들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2-25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