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척하는 삶/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척하는 삶/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9-01 00:00
업데이트 2014-09-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상에서 ‘척하며’ 사는 사례를 소개하는 방송을 보고서 싱겁게 웃었다. 이를테면 고급 음식점에서 맛있게 먹은 사진을 올린 게 거짓임이 나중에 탄로 난 것 등이다. 엉큼함에 빈틈 없어 보였다. ‘척하다’는 앞말을 보조하는 동사인데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모른 척, 아는 척, 하는 척, 못 본 척하다 등…. 살면서 척해야 할 경우가 많다는 뜻일 게다. 잘난 척하는 것이 그 중 꼴불견이 아닐까 싶다.

상용하지만 ‘척’의 의미를 혼동하는 것도 있다. 언젠가 ‘척하면 삼척’의 뜻을 물었더니 거의 알지 못했다. 먼저 나온 답은 강원도 삼척이었다. 여기서의 삼척은 길이 단위(한 척 22㎝)로, 자로 재지 않아도 대충 안다는 뜻이다. 지명에 갖다 붙이니 삼척의 의미를 알 턱이 없다. 석 자 키밖에 안 되는 철부지 ‘삼척동자’(三尺童子)는 어린애로 느껴져서인지 그나마 나았다. 삼척시가 이를 냅다 원용해 농수산물 사이트 ‘삼척동자 두루장터’를 만들었다. ‘삼척동자도 알게 된다’면 그만한 홍보는 없을 게다. 척함에는 삶의 여러 방편이 담겨 있다. 그런데 침 꿀꺽 삼키며 아는 척하는 것보다 ‘미련 곰탱이’로 보이는 게 나을 때도 있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9-0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