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바다의 품/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바다의 품/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1-31 17:38
업데이트 2019-02-01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압도하는 바다의 광활함에 도취했었다. 안아줄 품이 그리울 때면 바다를 찾는다. 바다가 넓은 품을 벌린다. 바다는 나를 품고 나는 바다를 안는다. 어떤 잡념도 거추장스러운 무념무상의 세계.

서해의 어스름에 주홍빛 태양이 바다로 풍덩 빠지고 있다. 모네와 르누아르를 사로잡았을 빛. 그 다사로움에 삭막한 마음은 온기를 찾고 그 황홀함에 거친 피부는 윤기를 얻는다.

생선 내음 비릿한 선창가. 뱃고동 소리는 막 선잠 든 소라를 깨운다. 동백꽃 선홍색은 칼바람에 더 짙어진다. “점 찍은 작은 섬을 굽이굽이 돌아서 구십리 뱃길 위에 은비늘이 곱구나” 노래비의 한 구절이 가슴을 파고든다.

산이 모든 것을 보여준다면 바다는 모든 것을 품어준다. 마지막 종착지 바다는 넉넉하고 자애롭다. 어떤 해악도 바닷속에서는 스스로 흐물흐물해진다. 인간이 뿌린 갖은 독물도 바다의 광대함 앞에서는 무릎을 꿇는다.

밤바다는 전에 없이 폭풍우를 몰아쳤다. 무절제하고 간악한 인간이 인자한 바다를 마침내 노엽게 했을까.

다음날 바다는 평온으로 돌아갔다. 잠시 경고를 한 게다. 마냥 관대한 것은 없다. 오래도록 아름다운 바다를 보고 싶다면 인간이 뉘우쳐야 하지 않을까.

sonsj@seoul.co.kr
2019-02-01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