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기다림의 미학/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기다림의 미학/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9-05-05 23:16
업데이트 2019-05-06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로 생긴 동네식당에 들렀다. 메뉴를 고민하다 국밥을 시켰다. 바람 불면 남자가 만든 국밥이 그리워진다는 소개문구도 좋았고 뚝배기 속 고기도 먹음직스러웠다. 기다린 메뉴는 부실했다. 고기는 두세 점뿐이었고 그나마 너무 얇아 흐물거릴 정도였다.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다.

기다림은 희로애락이다. 먹고 싶은 음식이나 하고 싶은 일, 보고 싶은 사람을 기다리는 건 즐거움이다. 초등학생 시절 소풍 전날이면 늘 들뜬 기분이었다. 방학 또한 마찬가지였다.

중환자 수술실 앞을 서성이는 환자 가족들의 기다림은 불안감 그 자체다. 수술이 잘못돼도 민·형사상 책임을 병원에 묻지 않겠다는 수술 동의서는 환자 가족에겐 신체포기각서나 다름없다.

모레는 어버이날. 꽃집은 카네이션으로, 문구점은 카드로 손님맞이에 분주하다. 즐거운 기다림이다.

아련한 기다림이기도 하다. 중학교 때 어버이날 등굣길에 상여행렬을 봤다. 어머니 영정사진을 든 상주는 또래 아이였다. 마음이 아팠다. 그런데 부모가 된 뒤로는 수화기 너머 어머니의 들뜬 목소리를 느끼면서도 가뭄에 콩 나듯 전화안부가 고작이다. 그리움의 시간을 접고 있을 부모님의 기다림은 어느새 내 것이 되었다.

eagleduo@seoul.co.kr
2019-05-06 2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