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1937년 중국 겨울/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1937년 중국 겨울/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12-01 21:02
업데이트 2019-12-02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난징(南京)은 육조고도(六朝古都)다. 즉, 역사 속 여섯 왕조의 도읍이었다. 뭍에서, 바다에서 물산 풍부한 강남 지역은 정도(定都)에 꽤 좋은 조건을 갖췄다. 다만 국민당 중화민국의 수도였던 점이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끼쳤을지 모른다. 꽤 긴 역사를 품고 있음에도 1949년 건국 이후 중국에서 난징이 대도시로 발전하지 않게 된 이유다. 현대사 속 태평천국, 중화민국까지 난징을 수도로 한 나라가 모두 단명(短命)했다는 점은 마오쩌둥으로서 찜찜했을 테다.

어떤 인연이 있는지 이제껏 난징만 7~8차례 찾았다. 몇 년 전에는 아예 1년 동안 지내기도 했다. 난징을 가면 늘 난징대학살기념관을 들른다. 1937년 12월 13일 일본군이 난징에 침략해 35만명이 넘는 양민들을 무참히 학살한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총으로 쏴 죽였고, 칼로 베어 죽였고, 그 추웠을 겨울 호수에 밀어 넣어 얼려 죽였다. 갈 때마다 80년 전 한파 속 비명이 귓전을 맴도는 듯해 옷깃을 여미게 된다. 불과 십수 년 전만 해도 질척거리는 흙길을 지나야 갈 수 있었지만, 이제는 주변이 우리네 뉴타운처럼 개발돼 아파트가 빼곡하다. 기념관 시설과 주변 환경은 날로 좋아지지만 역사 속 기억은 형해화하지 않을까 슬몃 걱정이 든다.

2019-12-02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