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야생견/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야생견/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19-12-25 17:48
업데이트 2019-12-26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동네 야산이나 둘레길을 걷다 보면 가끔 주위를 배회하는 야생견들과 마주친다. 주인에게 버림받은 아픔 때문인지, 으르렁대는 폼새가 인간에 대한 적의감이 가득하다. 버림받은 개들은 혼자가 됐다는 두려움에 가장 먼저 숲으로 간다고 한다. 그곳에서 같은 처지의 개들과 무리를 지어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기억 저편에 숨어있던 야생성이 살아난다. 도처에 야생견이 출몰해 인간을 공격했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나오는 까닭일 것이다.

대략 1만 5000년 전 안팎, 인간이 농경 생활을 시작한 이후 가축으로 만든 첫 동물이 개다. 늑대가 인간이 먹다 남긴 찌꺼기를 먹으려고 인간 주거지 가까이에 접근하다가 길들여진 것이다. 생존 전략으로 야성을 버리고 스스로 진화과정에서 DNA를 바꿔 인간과의 동거를 택했다는 것이 과학적 설명이다.

사람 사이의 신뢰는 깨지기 쉽지만 충직한 개는 결코 우리를 배신하지 않는다. 개 스스로 인간을 배반할 확률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명이 넘어섰다고 한다. 외로운 인생길을 함께한다는 의미에서 애완견 대신 ‘반려견’으로 부른 지도 꽤 오래다. 반려견과 야생견의 갈림길은 결국 인간의 몫일 수밖에 없다.

oilman@seoul.co.kr
2019-12-26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