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진화/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진화/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2-01-26 20:14
업데이트 2022-01-2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길섶에서
길섶에서
보잘것없는 인간이 진화 과정에서 ‘두뇌’를 선택해 생존에 성공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현생인류인 호모사피엔스가 라틴어로 ‘지혜가 있는 사람’이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 두뇌 덕에 ‘만물의 영장’이란 칭호를 얻었지만, 인간이 치르는 희생도 크다. 가파른 두뇌의 진화 속도로 인해 원시시대 초원에 익숙한 인간의 몸과 정신이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700만년의 진화 과정을 보면 극히 짧은 기간(3만년)에 비대칭적인 현생인류가 탄생한 것이다.

지금이야 만병의 근원으로 불리는 게 스트레스지만 사실 수렵시대엔 만병통치약이나 다름없었다. 스트레스는 인간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느끼는 불안과 위협의 감정으로, 인체는 이에 맞춰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원시시대에는 사자를 만난 인간이 더 빨리 도망치게 만들어 생명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했다. 현대에 와서는 생명을 단축시키는 악역으로 바뀌었다. 참으로 아이러니다.

오일만 논설위원
2022-01-2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