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비빔밥과 월남쌈/진경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비빔밥과 월남쌈/진경호 논설위원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트남을 찾은 박근혜 대통령이 ‘월남쌈’을 말했다. 엊그제 두 나라 주요 경제인들과 함께한 만찬에서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베트남 음식 중 하나가 ‘베트남쌈’”이라며 “베트남쌈이 맛을 내려면 쌀종이로 여러 재료들을 잘 싸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두 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자유무역협정(FTA)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그러고 보면 월남쌈, 고이꾸온(Goi Cuon)은 ‘어울림’이라는 점에서 우리의 비빔밥과 사뭇 닮았다. 비빔밥이 그렇듯 이런저런 야채와 고기가 어우러져 새로운 맛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새우와 파인애플, 고수 등 담기는 재료는 조금 다르지만 맛의 ‘융합’이란 점에서 궤를 같이한다.

한데 비빔밥과 월남쌈엔 또 다른 공통점이 어른댄다. 순탄치 않았던 선조들의 역사다. 비빔밥만 해도 골동반(骨董飯)이라는 궁중음식에서 유래했다는 번듯한 설도 있지만, 숱한 전란 중에 이것저것 챙겨 먹을 짬이 없는 데서 비롯됐다는 얘기, 여염집 아낙들이 남은 밥과 찬을 처리하려 만들었다는 얘기 등 팍팍했던 조상들의 삶이 서린 유래가 좀 더 설득력 있게 들린다. 월남쌈도 고달픈 유래를 지녔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숱한 난민들이 멀리 호주로 건너갔고, 돈 벌 도리가 달리 없는 이들이 만들어 내다 판 음식 가운데 월남쌈이 크게 인기를 끌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하긴 비빔밥과 월남쌈만 닮았겠는가. 지평을 넓혀 보면 두 나라 역사 자체가 닮아 있기도 하다. 우리가 반만년간 중국과 북방 오랑캐 등의 끝없는 침탈을 뚫고 역사를 이어왔듯 베트남 또한 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된 중국의 1000년 지배를 비롯해 독립과 피침, 침탈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국민 다수를 차지하는 킨족을 비롯해 따이족, 타이족 등 54개의 부족으로 이뤄진 인구 구성과 다종교 분포가 다난한 베트남의 지난날을 말해준다.

피탈의 역사를 공유하면서도 침탈의 비극으로 엮인 두 나라다. 공산 침략을 저지한다는 명분 아래 파병된 우리 군 31만 2853명과 1964년부터 8년간 총부리를 겨눈 나라다. 퐁니·퐁넛 양민 학살, 하미마을 학살과 같은 비극이 있었고, 우리 군 5099명이 목숨을 잃었다. 피의 대가로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참전수당과 차관을 받았고, 그 돈으로 경부고속도로를 놓고 경제를 일으켰다.

9년 만에 찾은 한국 대통령을 그들은 국빈으로 맞았다. 박 대통령은 ‘사돈의 나라’라 했지만, 어느 구석에선 베트남 신붓감을 알몸으로 세워놓고 고르는 어글리 코리안들이 남아 있다. 아직 우리는 부끄러운 사돈이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3-09-10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