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서원 문루/이동구 논설위원

[씨줄날줄] 서원 문루/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3-08-15 02:42
업데이트 2023-08-15 0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한국의 서원’ 아홉 곳을 차례로 방문하며 느낀 점은 ‘참 아름다운 곳’이란 것. ‘한국의 서원’은 대개 산세가 수려하고, 맑은 계곡과 탁 트인 전망 등을 잘 갖추고 있다. 이는 서원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도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 자연 속에서 인간의 본성을 느끼고 학문과 진리를 탐구하려 했던 선비의 정신 세계가 고스란히 보존됐다고 할 수 있다.

안동의 하회마을 뒤편에 있는 병산서원이 한국의 서원 중 가장 아름다운 서원으로 불리는 이유는 문루인 만대루(晩對樓)가 큰 몫을 한다. 요즘처럼 더위가 기승을 부려도 만대루에 올라서면 방문객 누구라도 시원한 낙동강 바람에 시문을 흥얼거릴 법하다.

남계서원의 문루인 풍영루(風詠樓), 도동서원의 수월루(水月樓), 필암서원의 확연루(廓然樓), 옥산서원의 무변루(無邊樓), 돈암서원의 산앙루(山仰樓), 무성서원의 현가루(絃歌樓), 소수서원의 문루격인 경렴정(景濂亭) 등도 한결같이 주변 경관을 바라보며 유생들이 심신을 수양할 수 있게끔 빼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이해준 공주대 교수는 ‘한국 서원의 지성사적 전통과 지역 네트워크’라는 논문을 통해 “문루는 서원 유생과 서원을 방문한 명사들이 어울려 글을 짓고 시를 나누며 교류했던 곳”이라고 했다.

한데 이 아름답고 멋진 서원이건만,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 마음 한켠은 늘 찜찜하기만 했다. 서원 곳곳의 많은 글귀들이 한자(漢字)로 돼 있다 보니 제대로 읽지도 못하고 뜻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자를 배운 바 없는 젊은 세대뿐 아니라 함께 온 부모도 답답하긴 마찬가지. 이에 서원을 관리하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통합관리센터’가 이런 한자 글귀들을 풀어 설명한 해설집을 발간해 서원별로 비치했다. 덕분에 서원 구석구석에 적힌 멋진 글귀들의 의미와 서원의 역사, 관련 인물들의 업적 등을 쉽게 알 수 있게 됐다.

신시섭 센터 본부장은 “서원에 깃든 인문학 사상이 현대인에게 바른 심성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오늘 우리의 교육 현장이 위기에 놓였다. 자연을 벗하며 학문과 윤리, 도덕 증진에 힘쓴 선비들의 맑고 곧은 심성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서원부터 되돌아보면 어떨까 싶다.
이동구 논설위원
2023-08-15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