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조선통신사

[씨줄날줄] 조선통신사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4-08-01 23:51
수정 2024-08-01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통신사란 일반적으로 조선 국왕이 일본 실권자인 막부의 쇼군(將軍)에게 보낸 사절단을 말한다. 하지만 일본에 파견된 국가 차원의 사절단을 통신사라 부른 사례는 고려시대부터 있었다. 고려가 1375년(우왕 1) 무로마치 막부에 왜구의 횡포를 막아 달라고 요청하는 사절을 보낸 것이 사료에 나타난 첫 통신사다.

조선 전기 통신사는 쇼군의 즉위를 축하하거나 사망에 조문하면서 그들의 국정을 탐지하는 역할을 했다. 임진왜란 직전인 1590년 황윤길과 김성일의 사행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본 통일을 축하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적정 탐색이 주목적이었다.

임진왜란 직후 포로 송환을 요구하는 사행은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였다. ‘신뢰로 소통한다’는 뜻의 ‘통신’(通信)이라는 표현을 피했다. 조선은 ‘일본의 상국(上國)’을 자처했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 하야시 라잔은 ‘조선은 예부터 일본 서쪽 번(藩·제후의 영지)으로 그 사절은 원인(遠人·변방인)’이라 했다. 글의 제목부터 ‘조선통신사 내공기(來貢記)’이니 회답겸쇄환사를 포함한 통신사를 ‘조공을 바치러 온 사절단’으로 인식했다. 이런 분위기가 일본에서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평화롭게 교류를 이어 간 18세기 조선통신사행은 정보 탐색에 초점이 맞춰졌다. 강한 군사력을 만든 군제(軍制)와 3모작을 가능하게 한 수리시설은 연구 대상이었다. 유흥문화를 비판하면서도 경제적 발전 과정에는 궁금증을 가졌다. 이렇게 조선의 지식인은 일본의 실상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이해하게 됐지만 그들의 인식은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조선통신사의 우두머리가 탔던 ‘정사기선’을 재현한 조선통신사선이 엊그제 부산을 떠나 일본 시모노세키까지 1000㎞ 뱃길을 재현하고 있다. 우리는 조선통신사를 ‘선진 문화를 일본에 이식한 주체’라고 의미를 부여하며 뿌듯해한다. 하지만 일본은 지금 완전히 다른 생각으로 이 배를 환영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4-08-02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의대 증원 논쟁 당신의 생각은? 
의료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정 갈등 중재안으로 정부에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 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당장 2025년 의대 증원부터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예정대로 매년 증원해야 한다
2025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2026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