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번역 유감/이상건 서울대 의학 교수

[열린세상] 번역 유감/이상건 서울대 의학 교수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이상건 서울대 의대 신경과 교수
번역 문제까지 겹쳐 시끄러웠던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이 우여곡절 끝에 통과되었다. 중요한 국제 협약에서 번역 오류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단어뿐 아니라 숫자도 틀렸다고 하니 의아하기만 하다. 중간 협상 단계의 문서를 적당히 이용하려다가 벌어진 일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결국 비용을 아끼려다 벌어진 일이란다. 나라의 장래가 걸려 있는 중요한 협상을 어렵게 타결지은 분들이 칭찬과 격려는커녕 질타를 받는 모습을 보니 안타깝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세상에 완벽한 번역은 없다고 했다. 맞는 말이지만 이러한 번역에서는 문체는 거칠어도 정확하게 사실이 전달되면 된다.

정말 어려운 것은 해외 저작물의 번역이다. 언어뿐 아니라 그 언어의 배경이 된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는 제대로 된 번역을 할 수 없다. 게다가 우리말로 매끄럽게 풀어내는 솜씨까지 있어야 한다. 그 나라 언어만 안다고 할 수 있는 단순 작업이 아니다. 이런 잘못된 인식 때문에 좋은 번역자에 대한 올바른 대접도 안 되고 있다. 최근에 국내 저술의 출간이 상대적으로 줄고 해외 저작물의 번역은 홍수를 이루고 있다. 그만큼 일반 독자들이 외국 작품에 접하는 경우가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번역이 갖는 의미가 더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번역서는 크게 흠잡을 곳이 없다. 오히려 과거보다 많이 개선되었다. 우리 문학 작품을 읽는 느낌이 들 때도 있다. 그러나 간혹 만나는 어이없는 번역은 우리 글에도 해가 되지만 독서 의욕마저 잃게 만든다. 심지어는 원본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여러 사람들에게 분할 번역을 시킨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 때도 있다. 그만큼 앞뒤 문장의 특성이 다르고 연결도 매끄럽지 못하다.

작품이 탁월해서이지만 신경숙씨의 작품이 미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는 데에는 원작의 맛을 잘 살린 번역도 상당 부분 기여했을 것이다. 재미교포인 번역자가 자주 원작자를 만나고 원작의 느낌을 살리려는 노력을 많이 했다고 들었다. 최근 번역서에는 같은 번역가가 한 작가의 여러 작품을 계속해서 번역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대개 이전 작품에서의 독특한 느낌과 분위기를 잘 살리고 그 작가의 특징적인 문체에 맞는 훌륭한 번역이 나온다.

필자가 생각하는 번역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낮은 단계)는 번역하는 사람이 단어 뜻을 모르거나 다른 뜻으로 이해하여 근본적으로 번역이 틀린 경우이다. 2단계는 번역하는 사람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의 뜻만 연결하여 문장을 만드는 경우다. 3단계는 단어도 적절히 이해하고 문장 흐름도 이해하였으나 번역이 매끄럽지 못하여 자꾸 번역문이라는 느낌이 들게 하는 경우이다. 마지막 4단계는 단어, 문장 흐름도 완벽하고 글도 매끄러워 전혀 번역문인지 모르고 몰입하게 만드는 경우다.

예를 들어 ‘Enough is enough.’라는 말은 흔히 좋지 않은 상황이 충분한 기간 동안 방치되어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을 때 쓰인다. 이제는 그만해야 한다는 의미다. 가정 폭력의 경우 이 말을 쓴다면 가정 폭력이 만연하고 위험한 수위에 이르러 이제는 무언가 조치를 취할 때가 되었다는 뜻이다. 이렇게 옮기는 번역자는 없겠으나 이를 ‘충분한 것이 충분하다.’, ‘이건 충분하다.’ 정도로 번역한다면 1, 2 단계의 번역이 될 것이다. ‘이건 지나치다.’, ‘이제 참을 만큼 참았다.’라고 한다면 3, 4단계의 번역이라고 할 수 있겠다.

번역의 수준을 더 높이고 독자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번역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신문 등 언론 매체에서는 새로 나오는 책을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 주로 책의 내용과 저자 소개, 그 책이 갖는 의미를 알려준다. 그런데 해외 저작물의 경우 이것으로 불충분하다. 번역의 수준도 같이 평가되어서 일반 독자들의 알 권리를 높여 주어야 한다. 만일 한 사람의 평가로 부족하다면 책을 많이 보는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일반 독자 10명 정도로 구성된 평가단을 만들면 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더 훌륭한 번역과 번역자가 나오기를 기대할 수 있다. 훌륭한 번역을 하는 번역자에게는 그에 합당한 대우를 해 주어야 한다. 그럴 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2011-05-16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