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지역 축제의 세계화/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

[열린세상] 지역 축제의 세계화/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

입력 2011-10-24 00:00
수정 2011-10-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
김현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장
다시 가을이 깊어 간다. 올해도 전국의 방방곡곡에서 많은 수의 축제가 열리고 있다. 축제를 통해 지역을 홍보하고 지역경제를 보다 활성화하려는 필요성 때문이다. 지역에서 개최되는 축제의 숫자만큼이나 축제 추진에 대한 논의가 많아서 새삼스럽게 축제를 다시 이야기한다는 것이 자칫하면 객설 축에도 들지 못할 형편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예년과 사뭇 다른 양상들이 지역축제에서 나타나고 있다. 축제의 지형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축제의 정석(定石)’이라고 할 수 있는 주제의 다양성 증가는 물론이거니와, 집중성 높은 테마에 의한 참여형 축제 개최가 주류를 형성해가고 있다. 또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의하면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줄곧 증가해오던 지역축제의 수도 2008년 926개를 정점으로 올해는 763개로 줄었고, 50억원 이상의 대규모 축제도 무려 9개에서 3개로 대폭 줄어들 정도로 축제의 소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축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유사한 축제는 통폐합하고, 매력 없는 축제, 행사성 축제를 폐지하고 있다. 낭비성 축제가 국가 및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위협하고 그것이 고스란히 주민의 부담으로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그런 판단에서 지자체들이 축제의 비효율을 제거하고 있다. 전라북도는 51개 축제 중 이미 14개를 퇴출 또는 통폐합했고, 강원도는 86개의 축제 가운데 18개만 지원할 예정이다. 이런 사정은 다른 지자체에서도 다를 바가 없다.

축제의 양적인 성장에서 질적인 심화로의 변화와 동일한 선상에서 또 하나 주목할 만한 특징이 부각되고 있다. 바로 ‘지역축제의 세계화’ 경향이다. ‘세계’니 ‘국제’니 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축제의 수가 증가하는 데서 이 점을 확인할 수 있다. 2006년부터 올해까지 이런 명칭의 이름표를 달고 개최되는 축제가 16개에서 46개로 세 배나 증가해 전체 축제의 6%를 차지할 정도다. 비율로 봐서는 가히 ‘지역축제의 세계화 시대’로 이동하고 있다고 할 만하다.

지역축제가 본디 지역의 특색을 동질화시키고 속 비우기하는 세계화의 역풍에 맞서, 시간의 침전이자 생활의 퇴적인 문화라는 지역의 ‘특수한 자산’을 바탕으로 해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축제의 세계화는 극히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자체가 이전에는 선택하고 경험해보지 못한 축제 세계화는 이를 표방하는 지자체들에 축제의 내실화를 통한 국제적 확산이라는 원론적인 언술에 더해 보다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그렇다면 지역축제의 세계화에서 빠뜨릴 수 없는 요소가 무엇일까. 세계화를 표방하는 지역축제가 지역의 특수성에만 갇혀 있어서는 세계시장에서 통할 수 없다. 그러한 특수성이 세계적인 매력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매력으로 외부사람들에게 ‘해석’되고 ‘전달’되어야 한다. ‘문화적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는 말이다. 문화적 소통의 중요성은 여러 사례에서 지적할 수 있겠지만, 파리와 함께 세계 패션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밀라노 패션에서 극명하게 목격할 수 있다. 밀라노는 이탈리아 패션을 세계화시키기 위해 단순히 “와서 보라.”는 식의 패션쇼에서 끝나지 않고, 무대에 오른 디자이너의 패션을 패션쇼 내내 방문객에게 상세하게 해석하고 전달하고 있다.

‘난타’처럼 소리나 다른 것을 통해 내용이 전달되는 ‘표현적 보편성’이 강한 경우는 문제가 없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처럼 인간의 보편적 감정인 해악을 토대로 세계화가 보다 진전된 경우도 있다. 그리고 연등축제처럼 ‘외국인 모니터’를 통해 문화적 소통 여부를 부단히 점검, 개선하는 축제도 있다. 그러나 세계화를 지향하는 우리 축제의 현주소는 우선은 외국인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화적 해석과 전달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그에 따른 노력도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부터라도 축제의 국제적 매력 향상을 위해 시장의 글로벌화에 적합한 축제의 문화적 해석과 전달에 착실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2011-10-24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