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때를 잘 읽을 때/최흥집 강원랜드 대표

[열린세상] 때를 잘 읽을 때/최흥집 강원랜드 대표

입력 2013-10-15 00:00
업데이트 2013-10-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흥집 강원랜드 대표
최흥집 강원랜드 대표
하늘이 짙은 쪽빛 속살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먼 산의 단풍이 절정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벽을 타고 오르던 담쟁이덩굴은 진홍색으로 옷을 갈아입고 있습니다. 시나브로 사람들의 입성이 점점 두꺼워지고 있으며, 어느 소설가의 말처럼 낙엽 타는 냄새에서 진한 커피 냄새를 맡고 싶은 날들입니다. 이렇게 계절은 가을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습니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라고 합니다. 황금색 들판은 풍요로운 가을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이 결실을 위해 농사짓는 이들은 봄부터 여름까지 때를 맞춰 열심히 일하고 땀 흘렸습니다. 때를 맞춰 땅을 갈고, 씨를 뿌리고 모를 키웠습니다. 때를 맞춰 모내기하고, 김도 맸습니다. 제때 흘린 농부의 땀이 풍성한 가을을 불러왔습니다.

제대로 된 때를 안다는 것은 기업과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득롱망촉(得?望蜀). 농서 지방을 얻고, 촉 땅을 바란다는 말입니다. 왕망이 세운 신(新)나라를 무너뜨린 후한의 광무제 유수는 천하통일을 눈앞에 두었습니다. 그는 천하의 거의 모든 지역을 차지했지만, 오직 농서의 외효와 촉 지역의 공손술만이 그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며 버텼습니다. 이에 격분한 장군들이 군대를 동원해 정벌할 것을 주장하지만, 광무제는 아직은 때가 아니라며 기다릴 것을 명했습니다.

얼마 후 외효가 병으로 죽자 그의 아들이 농서 땅을 들어 항복해 왔습니다. 마침내 광무제는 농서를 수중에 넣었습니다. 그리고 남아 있는 촉을 바라보며 ‘농서를 얻자 촉을 바라다니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면서 군대를 움직여 촉마저 점령했고, 천하는 다시 통일 국가로서 안정을 되찾게 됐습니다. 유수는 자신에게 주어진 천하통일의 때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그로부터 이백년쯤 지난 후한 말기, 천하는 군웅들의 세력 다툼으로 어지러워졌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촉을 점령한 유비가 오나라의 손권과 대립하게 되자 그 틈을 노린 조조가 직접 군사를 지휘해 한중과 농서 지방을 차지했습니다. 이때 조조 진영의 참모인 사마의와 유엽이 나서서 승기를 잡았으니 이 기세를 이어 촉을 칠 것을 건의했습니다.

이백년 전 광무제 유수가 섰던 자리에 서게 된 조조는 광무제와 달리 ‘농서를 얻자 촉을 바라다니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그러나 이미 농서를 얻었으니 촉까지 바라지는 않겠다’며 회군을 결정합니다. 가까스로 위기를 넘긴 유비는 촉을 안정시키고, 결국 천하는 본격적인 삼국 대립의 시대로 접어들게 됐습니다. 유수군과 조조군이 처했던 상황이 다를 수는 있지만, 어쩌면 조조의 실기(失期)가 천하통일을 미루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하겠습니다.

매일 같은 모습으로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강물도 어제의 강물과 오늘의 강물이 다릅니다. 이렇게 세상은 항상 변하고 있으며, 이 속에서 때를 놓치지 않는다는 것은 변화를 제대로 읽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세상의 변화는 한꺼번에 오지 않고, 수많은 조짐과 함께 옵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변화의 조짐들 속에서 그것들을 보고 또 느끼며 살고 있습니다.

일엽지추(一葉知秋). 떨어지는 나뭇잎 하나를 보고 천하에 가을이 왔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말입니다. 이와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못한다고도 했습니다. 이 말들은 변화의 조짐에 관한 것입니다. 그 변화의 조짐 속에는 한 잎의 낙엽처럼 진정한 변화를 알려 주는 조짐이 있는가 하면 잘못 날아온 제비처럼 거짓된 신호도 있습니다.

우리는 떨어지는 나뭇잎을 보고서도 계절의 변화를 미처 느끼지 못하고 망한 나라나 기업들의 이야기를 많이 알고 있습니다. 아직 변화의 때가 무르익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지레짐작으로 나섰다가 오히려 어려움에 부닥치게 된 기업이나 나라의 이야기도 알고 있습니다. 모두가 변화를 잘못 읽은 탓입니다.

계절의 변화는 빠르고 늦는다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우리 곁으로 다가오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다만 계절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한 사람들이 때를 놓치고 투덜댈 뿐입니다. 옷장을 열어 보니 여름옷이 치워지고, 추동복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가을입니다.

2013-10-15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