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50년 만에 바치는 헌화, 간디에게/이종수 연세대 행정대학원장

[열린세상] 50년 만에 바치는 헌화, 간디에게/이종수 연세대 행정대학원장

입력 2023-08-08 01:02
업데이트 2023-08-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극한호우, 폭염… 지구 회복력 이미 상실
산업화 반대했던 간디 뜻 돌아보게 돼
인류 위기극복 실천과제, 서둘러 찾아야

이미지 확대
이종수 연세대 행정대학원장
이종수 연세대 행정대학원장
코로나 뒤의 극한호우와 폭염이 예사롭지 않다. 한국의 여주가 38.4도를 기록했고, 이탈리아 시라쿠사는 48.8도까지 올랐다. 이마저도 올해가 제일 시원한 해가 될 것이고, 지구는 더 뜨거워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지구가 이미 회복할 수 없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를 지났고, 2050년에는 인간이 거주하기 힘든 상태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지구의 위기를 보며 나는 간디의 책을 찾았다. 간디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초등학교 때였다. 비폭력 평화사상으로 인도의 독립을 이끌어 타고르가 ‘마하트마’라는 칭호를 붙여 주었다는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었다. 경외심이 생겼지만, 그가 산업화에 반대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나는 마음을 반쯤 닫았다. 산업화로 인류가 이만큼 번영하게 됐는데 반대라니. 그래서 오늘날 인도가 뒤처진 게 아닐까. 인위적으로 산업 발전을 멈출 수가 있을까.

산업화의 부작용으로 인류가 생존을 위협받는 지금에 이르러 나는 50년 만에 간디를 읽기 시작했다. 그는 왜 산업화에 반대했을까. 혹시 간디가 옳았던 게 아닐까. 그는 산업화로 불평등과 착취, 인간성과 도덕의 상실, 자연의 붕괴가 나타나 인류는 파국을 맞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인도와 아시아는 산업화를 시작하기도 전이었던 때에 그 같은 성찰을 할 수 있었는지 새삼 놀랍다. 기계화를 일부 수용하되 농업과 수공예 중심으로 인간을 수단화하지 않는 길로 인류가 가야 한다고 그는 가르쳤다.

인도의 독립에는 많은 추종자들이 생겼다. 영국의 소금 독점에 반대해 소금 행진을 시작했을 때 처음에는 79명이 뒤따랐지만 387㎞를 걷는 동안 300만명이 일어났다. 행진이 끝난 후 간디를 포함해 6만여명의 참가자가 투옥됐다. 이렇게 스스로 벌이는 운동을 간디는 ‘사탸그라하’(Satyagraha)라고 불렀다. 종종 ‘비폭력 불복종’으로 번역되고는 있지만, 사탸는 산스크리트어로 ‘진리’이고 그라하는 ‘노력’을 뜻하니 ‘진리 찾기 운동’으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르겠다.

간디가 조국의 독립보다 더 간절히 원한 것은 마을을 살리는 일이었다. 그는 인도를 70만개의 마을 공화국 연방으로 부르며, 마을을 살리는 일이 가장 고귀한 일이라 가르쳤다. 식민주의를 타도하는 일도 스스로의 자치 능력이 없다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그는 역설했다. 자치에 대해 개인과 지역 그리고 국가에도 동일한 논리로 설명하는데 윤리, 정치, 사회, 종교가 통합돼 나타난다.

그의 산업화에 대한 반대에는 추종자가 적었다. 간디의 먼 시선을 사람들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고난 속에서 그는 끝까지 희망을 말하고, 평화와 사랑이 갖는 힘을 일깨웠다. ‘유클리드의 점이 인간의 능력으로 그릴 수는 없지만 불멸의 가치를 갖는 것이라면 나의 구상은 인류가 살아야 할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완전히 실현될 수 없더라도 이 진실한 모습으로 인류가 살아가게 하라. 우리가 원하는 것에 근접하는 어떤 것에 도달하려면 우리는 제대로 된 그림을 가져야 한다.’

오늘 다시 산업화 그리고 인간의 이기심을 폭발시킴으로써 발전하는 자본주의 이외에 어떤 대안이 있는지 내놓으라고 그에게 묻는 것은 우리 스스로의 과제를 그에게 되던지는 것임을 깨닫는다. 그것은 간디의 책임이 아니라 우리의 실천 과제였다는 사실을 50년 만에야 깨닫고 그에게 뒤늦은 헌화(獻花)를 한다.

인도가 독립 후 힌두교와 이슬람교로 분열돼 싸울 때 간디는 양측의 화해를 촉구하며 단식을 했다. 그의 생명이 위독해지자 두 종교 지도자가 화해했고, 간디는 단식에서 일어나 증손녀의 부축을 받으며 1948년 1월 30일 기도회로 향했다. 그때 세 발의 총성이 울리고 간디가 쓰러졌다. 그가 남긴 말은 ‘오! 신이시여’ 그것뿐이었다.
2023-08-08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