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없이 사는 동물 최초로 발견

산소없이 사는 동물 최초로 발견

입력 2010-04-09 00:00
업데이트 2010-04-09 1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소없이 사는 동물들이 지중해 심해에서 최초로 발견됐다고 라이브사이언스닷컴이 8일 보도했다.

 과거 심해나 지하 깊은 곳에서 산소없이 사는 다양한 단세포 생물체들이 발견된 적은 있으나 지금까지 산소없이 사는 다세포 생물 또는 후생동물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예를 들어 열수(熱水) 분출공으로 사는 서관충(棲管蟲)은 물에 녹아있는 용존(溶存) 산소에 의해 살아간다.

 이탈리아 안코나 소재 마르케 공과대학의 로베르토 다노바로 교수 연구팀은 지난 10여년간 지중해 해저 3천250m 이하 염분이 많은 바닥에서 채취한 진흙 표본에 생물체가 서식하는지 조사하기위해 그리스 남부 연안을 세차례 탐사했다.이 바닥은 산소가 전혀 없으며 독성 황화물로 덮여있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박테리아,기타 미생물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그러나 이 침전물에서 다세포 동물들이 발견됐다고 다노바로 교수가 밝혔다.

 다노바로 교수는 “동물들이 산채로 발견됐으며 일부는 알을 배고 있었다”라고 전했다.

 길이가 1㎜ 보다 짧은 이 생물체들은 로리시페라로 알려졌으며 해파리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연구팀이 발견한 세 종류의 새로운 로리시페라에는 산소로부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세포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없었다.대신 이 생물체들은 산소없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하이드로게노솜(수소발생소포)과 유사한 세포기관들을 갖고 있었다.

 이 새로운 생물체의 발견은 해저에 산소 수준이 올라가고 약 5억5천만-6억만년전 화석에서 처음으로 대형 동물이 등장하기 전 생물체의 모습이 어떠했는지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견은 또한 지중해 외부 지역으로까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샌디에이고 소재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생물해양학자 리사 레빈이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