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총리 입성 막전막후

간 총리 입성 막전막후

입력 2010-06-04 00:00
업데이트 2010-06-04 15: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反(반) 오자와 바람을 타고 일찌감치 대세를 장악했다.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정권에서 하토야마 당시 총리와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간사장에 이어 ‘넘버3’였던 간 총리는 하토야마.오자와 ‘투톱’이 후텐마 문제 등에 몰려 2일 오전 전격 사임하면서 바로 총리 후보로 부상했다.

 대세의 흐름상 자신에게 기회가 왔다는 것을 감지한 간 당시 부총리 겸 재무상은 2일 오후 바로 하토야마 전 총리를 찾아가 차기 총리를 결정할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하겠다고 ‘신고’하고 곧바로 지지 의원들을 중심으로 선거대책위원회를 꾸렸다.

 간 총리는 하토야마 전 총리에게 지지를 호소해 긍정적인 답변을 들은데 이어 3일에는 반 오자와 그룹의 핵심인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국토교통상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외상,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국가전략상,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성 부대신 등에게도 도움을 요청했다.

 마에하라 국토교통상 등 반 오자와 그룹은 3일 오전 일제히 간 총리 지지를 선언했다.이들은 간 총리에게 오자와씨를 당직과 내각에서 배제하라고 요구했고 간 총리가 이를 수용했다.

 강력한 총리 후보였던 마에하라 국토교통상과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외상의 지지선언으로 대세는 간 총리에게 기울었다.

 마에하라 국토교통상은 40명,노다 재무 부대신은 30명의 계파 의원을 이끌고 있다.자체그룹 의원이 50∼60명 정도인 간 총리는 하토야마 그룹(약 70명),옛 사회당계 의원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요코미치 다카히로(橫路孝弘) 중의원 의장그룹(30명) 등의 지지도 예상돼 대충 200명의 중.참의원 의원을 확보한 모양새였다.

 당 대표 투표권을 가진 민주당 전체 중.참의원 의원이 423명이기 때문에 이 정도면 당선권을 확보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2일에 이어 3일 오전까지도 침묵을 지키던 오자와 그룹이 오후 늦게 당 대표 경선에 뛰어든 다루토코 신지(樽床伸二.50) 중의원 환경위원장을 지원하기로 했다는 방송보도가 터져나오면서 분위기가 급전했다.

 반 오자와 그룹이 간 총리 진영으로 몰리면서 당직과 내각 인사에서 찬밥 신세로 전락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느낀 오자와그룹이 다루토코 지지로 돌아섰다는 것이었다.

 150명을 거느린 오자와그룹이 다루토코 중의원을 지원하면 간 총리의 당선 가도가 불투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경우에 따라서는 패배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곧바로 오자와 그룹이 특정후보를 지지하지않고 ‘자유투표’를 하기로 했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간 총리는 가슴을 쓸어내렸다.자유투표를 할 경우 다루토코 중의원에게 몰표가 가지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오자와그룹의 ‘관망’에 불안을 느낀 간 부총리는 2일에 이어 3일에도 하루종일 오자와 전 간사장과 연락을 취했으나 오자와 전 간사장은 응하지 않았다.

 이번 경선에서 오자와 전 간사장은 그룹 의원들에게 간 총리를 지지하라고 하지도 않았지만 다른 후보를 찍으라고 지시하지도 않은것으로 보인다.이번 경선에 자신의 직접 개입 사실이 알려지면 여론이 더욱 악화되면서 입지가 좁아지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 대표 선거 결과를 보면 간 총리가 291표,다루토코 중의원이 129표를 얻었다.오자와 간사장의 세력 150명 가운데 상당수가 다루토코 중의원에게 투표한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는 간 총리에게 표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간 총리는 자신이 원했든 원치않았든 반 오자와 세력에 업혀 ‘넘버원’에 올랐다.오자와 그룹이 여론 악화에 몰려 전열을 정비하지 못하는 사이 간 총리가 반 오자와그룹의 ‘포위망’을 활용해 권좌를 차지한 셈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