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美 교원평가제 부정행위 급증”

NYT “美 교원평가제 부정행위 급증”

입력 2010-06-14 00:00
업데이트 2010-06-14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적조작·시험지 유출 잇따라

미국에서 이른바 ‘교원평가제’가 확산되면서 교사들의 부정행위가 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각 주에서 매학년 말 치르는 학력평가시험 결과를 토대로 학교와 교장, 교감, 교사들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면서 학생들의 성적을 조작하거나 시험지를 유출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는 것. 교장과 교감은 승진 등의 기회가, 교사들에게는 2850달러의 보너스가 시험성적 결과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NYT는 “학생들의 평가시험 성적을 교사들의 실적과 연계시키는 주들이 늘어나면서 교사들의 부정행위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 들어서만 조지아, 인디애나, 매사추세츠, 네바다, 버지니아 등에서 교사들의 부정행위 사례가 적발됐다. 교육 전문가들은 부시 행정부 때부터 실시하고 있는 ‘낙제학생방지법’에 따른 낙제기준이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학력평가시험 결과를 교사 성과에 연계시키는 학교들이 늘면서 부정행위 유혹에 빠지는 교사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달 텍사스 휴스턴의 한 초등학교 교장과 교감, 교사 3명은 부정행위와 관련, 사퇴했다. 교육청은 이 학교 5학년 시험성적이 매년 놀라울 정도로 높게 나오자 이상하게 여겨 조사한 결과, 이들이 미리 과학시험지를 본 뒤 학생들에게 시험에 나온 내용들을 뽑아 학습자료로 나눠줘 공부시키는 방법으로 시험성적을 올린 사실이 밝혀졌다.

조지아주에서도 지난해 여름 초등학교 교장과 교감이 직접 학생들의 답안지를 고치는 방법으로 학력평가시험 성적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정직 처분이 내려졌다. 지난 2월에는 주 전역의 학교에서 부정의혹이 제기돼 교육청이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학력평가시험에 반대하는 비미영리단체인 ‘공정한 시험’의 로버트 셰이퍼 공교육 국장은 “일부 교육자들이 학교 명성과 자신들의 생계 압력 등에 떠밀려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고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06-14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