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토니·에미상 석권한 94세 한인 디자이너

美토니·에미상 석권한 94세 한인 디자이너

입력 2011-05-19 00:00
업데이트 2011-05-19 1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극이나 영화의 의상 디자인은 패션 디자인과는 전혀 다릅니다. 감독.배우와 끊임없이 교감하고 스토리 전체를 이해해야 하며 여러 분야와 시대상황을 이해하고 공부해야 하죠”

무대의상 디자이너로서 연극과 영화, 뮤지컬의 본고장인 미국 할리우드와 브로드웨이에서 활동하면서 토니상과 에미상을 각각 2번씩이나 수상한 윌라 김(94.한국명 김월라.金月羅)은 18일 뉴욕 한국문화원에서 열린 한인 디자이너 작품전시회에서 기자와 만나 무대의상 디자인의 특성을 이렇게 설명했다.

94세(한국나이 95세)라는 나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건강한 모습과 뚜렷한 목소리였다.

통상적으로 패션업계의 디자이너들은 판매할 목적으로 여러 사람을 위한 옷을 만들지만, 무대의상 디자인은 연극이나 영화 속의 특정한 한 인물을 위해 그의 캐릭터를 가장 잘 반영하는 의상을 만들어야 하는 작업이다.

이런 점 때문에 상업적 패션디자인보다 훨씬 더 순수미술에 가깝다는 것이 윌라 김의 설명이다.

그는 아시안 여성으로 미국의 예술공연계에서 활동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냐는 질문에 “어떤 인종이냐는 중요치 않다. 어떤 재능을 갖고 있느냐가 중요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한인으로서는 드물게 미국 영화.뮤지컬의 의상을 디자인하면서 무대예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을 만큼 현지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디자이너다.

1910년대 미국에 이민을 간 독립운동가 김순권 씨의 4남2녀 중 장녀로 로스앤젤레스(LA)에서 태어난 김씨는 셰나르 아트 스쿨에서 공부한 후 파라마운트 스튜디오에서 디자이너로 첫발을 내디뎠다.

화가가 되고 싶었던 그는 학창시절 담당교수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영화사에 보내는 바람에 영화사로부터 일자리를 제안받고 무대의상 디자이너의 길로 접어들게 됐다.

이후 뉴욕으로 이주한 그는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활동하다가 1966년 ‘말콤(Malcolm)’으로 브로드웨이에 데뷔했고, 1981년 ‘소피스티케이티드 레이디스(Sophisticated ladies)’와 1993년 ‘윌 로저스 폴리스(Will Roger’s Follies)’로 2차례 토니상 의상상을 수상했다.

1981년 샌프란시스코 발레단이 공연한 ‘템피스트(Tempest)’와 1984년 ‘어 송 포 데드 워리어스(A Song For Dead Warriors)’로 에미상 의상상도 받았다.

2007년에는 ‘무대예술 명예의 전당’ 인물에 선정돼 거쉬인 극장 로비 벽에 이름이 새겨졌고 뉴욕에 진출했던 한국 뮤지컬 명성황후의 무대의상 디자인을 컨설팅하기도 했다.

1993년 작고한 프랑스계 미국인 작가 윌리엄 펜 뒤보아가 남편이고 한인 최초의 미군 장교로 2차대전에 참전해 미국에서 특별무공훈장을 받은 김영옥씨가 동생이다.

함께 활동했던 뮤지컬 배우중 줄리 앤드루스를 가장 좋아한다는 그는 “무대의상 디자이너로 살았던 평생이 행복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