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교체 앞둔 中 “오보 언론사 폐쇄”

권력교체 앞둔 中 “오보 언론사 폐쇄”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넷 루머 인용보도 금지 조치도

중국이 또다시 언론에 대한 ‘재갈 물리기’에 나섰다.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보도를 금지하고, 인터넷 루머 인용보도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를 어기면 언론사 폐쇄와 기자 자격 몰수라는 극단적인 제재를 가할 방침이다.

내년 권력교체를 앞두고 사회불안 요소가 될 만한 ‘재료’가 사회에 퍼지지 못하도록 하려는 사전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중국은 인터넷서비스 사업자들의 자율 정화 형식으로 트위터격인 웨이보(微博) 정비를 시작해 사실상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을 막고 있다.

11일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언론 당국인 국가신문출판총서는 전날 ‘허위보도 방지와 관련된 약간의 규정’을 발표했다. 오보방지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사실상 언론의 비판 기능에 족쇄를 채우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취재 기본원칙, 언론사 관리 기본직책, 허위보도 처리규칙, 법률적 책임 등 4개 부분, 5개 조항으로 이뤄진 규정은 우선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사회 루머 등을 기사화해선 안 된다고 돼 있다.

또 최소한 2개 이상의 뉴스출처가 있을 때만 비판적 보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신문출판총서는 “언론사는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를 통해 유통되는 소문을 직접 인용할 수 없고, 역시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제보도 직접 보도해선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아울러 위반 시 강력한 제재를 예고해 언론사나 기자 스스로 취재 의욕을 누그러뜨릴 수밖에 없게 했다. 사실이 아니거나 부정확한 보도가 발견되면 즉각 정정보도와 함께 사과를 하도록 규정한 것은 물론 해당 기사가 심각한 결과를 가져왔을 경우 기자증 몰수, 평생 기자직 복귀 금지 등의 중벌에 처하도록 돼 있다. 해당 언론사 역시 운영 중단, 폐업 등의 중징계를 받을 수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1-12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