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대국 日, 무역적자국 됐다

수출대국 日, 무역적자국 됐다

입력 2012-01-26 00:00
업데이트 2012-01-2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1년만에… 지난해 -2조4927억엔

‘수출대국’ 일본이 31년 만에 무역적자국으로 ‘전락’했다. 1980년 제2차 석유 파동 이래 처음이다.

지난해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부품 조달난에 유럽의 재정 위기 심화로 인한 글로벌 경제 침체, 엔고 등이 겹치면서 수출이 저조했고, 원자력 발전 대신 화력 발전에 의존하느라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 재무성이 25일 발표한 2011년 속보치 무역통계에 따르면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2조 4927억엔(약 36조원) 적자였다. 일본의 지난해 수출액은 2010년보다 2.7% 감소한 65조 5547억엔으로 2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수입액은 12.0% 증가한 68조 474억엔으로 2년 연속 증가했다. 특히 LNG 수입액(4조 7730억엔)이 37.5% 급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본이 수십 년간 자동차와 가전,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제조업과 수출 중심의 무역정책을 펼침으로써 경제대국의 지위를 유지했지만 더 이상은 아니다.”면서 “일본이 수출 강국이었던 시대는 끝났다.”고 보도했다.

WSJ는 ‘수출강국’ 일본의 위상이 추락한 배경으로 먼저 대지진과 쓰나미로 국내 생산 시설이 파괴됐고, 원전 가동 중단과 에너지 비용 인상 등으로 제조업계의 부담이 커진 데다 엔화 강세로 수출 경쟁력이 떨어진 점을 들었다. 대외적으로는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이 수출 경쟁력을 악화시켰다. 일본은 에너지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서 제품 생산 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눈에 띄는 것은 한국의 연간 대일 무역적자가 29.0%나 급감한 것이다. 일본의 지난해 한국 수출액은 5조 2688억엔(약 76조 1000억원)으로 3.5% 준 반면 수입은 3조 1684억엔(약 45조 7000억원)으로 26.5% 증가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여전히 2조 1004억엔(약 30조 3500억원) 많았지만, 2010년보다는 29.0% 줄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일 무역적자 감소폭(29.0%)은 1998년(65.0%)과 1982년(32.1%)에 이어 역대(1965년 이후) 세 번째에 해당한다.

이전에는 세계경제 악화로 수출이 부진해지면서 대일 무역적자도 감소했지만, 지난해에는 수출이 늘어났는데도 대일 무역적자만 크게 준 점이 이전과 다른 것으로 분석된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1-2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