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광고효과는 적어”

“페이스북, 광고효과는 적어”

입력 2012-06-05 00:00
업데이트 2012-06-05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응답자 5명당 4명 “광고보고 물건산 적 없다”

페이스북 이용자 5명 가운데 4명은 광고나 코멘트를 보고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응답해 페이스북의 광고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로이터통신이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입소스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4일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이 전 세계 9억명의 이용자 기반을 광고수익으로 연결하려면 훨씬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확인시켜준 것이다.

또한 페이스북의 수익창출 능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드러냈다.

투자자들의 우려로 인해 페이스북의 주가는 지난달 기업공개(IPO) 이후 29%나 폭락했으며 시장가치는 300억달러가 떨어진 740억달러 수준이다.

페이스북 주식은 이날도 3%가 하락, 26.90달러의 종가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1천32명의 미국인(21%는 페이스북 계정 미소유자)을 대상으로 5월 31일부터 6월 4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됐다.

응답자의 34%는 6개월 전에 비해 페이스북 이용시간이 줄었다고 밝힌 데 비해 20%만이 이용시간이 늘었다고 답변했다.

5명 가운데 약 2명 비율로 페이스북을 매일 사용하며 약 절반은 사용시간이 6개월 전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40%는 IPO 실패로 인해 페이스북에 대한 친근감이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가장 빈번하게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연령층은 18~34세이며 이들 계층의 60%는 매일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55세 이상 사용자 가운데 매일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비율은 29%였다.

34%는 페이스북 이용을 줄였다고 답했으며 ‘싫증이 나서’와 ‘유익하지 않아서’가 주요 이유였고 ‘사생활침해 우려’는 3번째 이유로 꼽혔다.

이번 여론조사의 신뢰도 오차범위는 ±3.5%포인트이다.

한편, 지난 2월 시장조사업체인 이마케터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페이스북은 이메일이나 우편 광고보다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페이스북의 광고 효과에 대한 우려는 최근 미국에서 3번째로 큰 광고주인 제너럴모터스(GM)가 페이스북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밝힘으로써 심화됐다.

페이스북의 지난해 수입은 37억달러이며 대부분은 광고에 의한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에 접속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페이스북의 수입도 광고 공간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모바일 사용자로부터 돈을 벌어들이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