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저우9호 발사… ‘유인도킹’ 도전

中 선저우9호 발사… ‘유인도킹’ 도전

입력 2012-06-16 00:00
업데이트 2012-06-16 2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험용 우주정거장 톈궁1호와 도킹 예정

중국이 ‘유인 우주 도킹’ 기술 확보를 위해 선저우(神舟) 9호를 발사했다.

유인 우주선 선저우 9호를 실은 창정(長征)2-F 로켓이 16일 오후 6시 37분(현지시간) 네이멍구자치구 주취안(酒泉)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됐다.

선저우 9호에는 징하이펑(景海鵬), 류왕(劉旺), 류양(劉洋·여) 등 3명의 우주인이 탔다.

중국의 유인 우주선 발사는 선저우 5호(2003년), 선저우 6호(2005년), 선저우 7호(2008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선저우 9호는 발사 후 570여초가 지나 로켓에서 완전히 분리돼 지구 궤도를 돌기 시작했다.

선저우 9호는 1∼2일 뒤 실험용 우주 정거장 톈궁(天宮) 1호와 도킹을 시도할 계획이다.

성공하면 중국은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유인 상태에서의 우주 도킹 기술을 확보한 나라가 된다.

이에 앞서 중국은 작년 11월 무인 우주선인 선저우 8호를 쏘아 올려 톈궁 1호와 두 차례 도킹에 성공했다.

선저우 9호는 우선 자동 운항 방식으로 1차 도킹을 했다가 다시 분리하고 나서 우주인의 수동 조작 방식을 통해 2차 도킹을 시도한다.

도킹이 성공하면 선저우 9호와 톈궁 1호는 결합 상태에서 열흘간 지구궤도를 돈다.

우주인들은 톈궁 1호와 선저우 9호 사이를 자유롭게 오가면서 각종 과학·의학 실험 및 지구·우주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휴식도 취하게 된다.

실험 항목에는 신진 대사, 심혈관 기능의 변화 같은 우주인들의 생체 적응 관찰에서 장기 우주 체류 시대를 대비한 소변 정화, 광합성을 통한 산소 확보 차원의 조류(藻類) 배양 등이 포함됐다.

톈궁 1호는 우주인 3명이 동시에 머무르는 상황에서 최대 20일간 산소를 비롯해 생명유지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졌다.

원격 조정을 통해 산소와 질소 혼합 가스가 채워지는 등 톈궁 1호는 이미 우주인들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첫 여성 우주인인 류양이 남성 우주인들과 함께 머무르는 점을 고려해 톈궁 1호는 남녀 수면실과 화장실을 따로 갖췄다.

세계적으로 여성 우주인을 배출한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8곳이지만 자체 기술로 여성 우주인을 우주로 보낸 나라는 미국, 러시아, 중국 3곳이다.

선저우 9호는 발사 후 13일이 지나면 톈궁 1호와 분리해 네이멍구자치구 초원 지대로 귀환한다.

톈궁 1호는 내년 수명이 다해 지구로 추락해 소멸하게 된다.

중국은 우주인의 톈궁 1호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된 실험용 우주 정거장인 톈궁 2호와 톈궁 3호를 차례로 발사해 본격적인 우주 정거장 운영 시대를 위한 노하우를 쌓을 계획이다.

이후 중국은 2016년께부터 정식 우주정거장 모듈을 차례로 우주로 쏘아 올려 2020년께부터는 미국,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와 별도의 독자적인 우주 정거장을 건설해 운영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한편 CC(중국중앙)TV가 전날부터 선저우 9호 발사와 관련한 특보 체제에 들어가는 등 중국 언론 매체들은 축제 분위기 속에서 선저우 9호 발사 과정과 의의를 대대적으로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