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획] 표준시란…그리니치 천문대 0도·경도 15도마다 1시간差

[국제기획] 표준시란…그리니치 천문대 0도·경도 15도마다 1시간差

입력 2012-06-18 00:00
업데이트 2012-06-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전’ 기준 부정확… 원자시계로 대체 부각

템스강이 내려다보이는 영국 런던 교외 언덕 위에 자리 잡은 그리니치 천문대는 세계인이 사용하는 ‘시간의 기준’이 되는 지점이다. 1884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세계자오선회의’에서 이곳을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정해 경도(經度)의 원점(0도)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를 그리니치 표준시(GMT)라고 한다.

태양이 한 지방의 자오선을 지나는 시각, 즉 남중하는 시각은 같은 나라 내에서도 경도에 따라 달라진다. 경도가 15도 차이가 날 때마다 다른 표준시를 쓰게 된다. 경도가 15도 동쪽으로 옮겨지면 1시간 빨라지고, 서쪽으로 이동하면 1시간 늦어진다. 하지만 GMT는 지구 자전을 기준으로 시간을 산출하는 방식이어서 조수 등의 영향에 따라 자전 속도가 달라져 시간이 조금씩 부정확해진다. 때문에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세슘원자의 진동을 이용해 정확한 시간을 재기로 했으며, 1972년부터 협정세계시(UTC)로 이름을 바꿔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UTC라는 용어보다 GMT가 더 보편화돼 있다.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GMT보다 9시간 빠르다.

GMT는 세계 48개국의 천문대에 있는 400여개의 세슘원자시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구 자전을 기준으로 하는 평균 태양시와는 정확도가 달라 오차가 발생한다. 이 오차를 맞추기 위해 ‘초를 추가하는’(윤초)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원자시와 태양시의 미묘한 차이는 최근 위성항법장치(GPS)와 이동전화 네트워크, 첨단장비 등에 여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때문에 미국과 일본,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지구 자전 기준이 아니라 원자시계를 기준으로 국제표준시(TAI)를 정하자는 제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어 GMT는 머지않아 역사 속으로 사라질 운명에 놓여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2-06-18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