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저우 9호 도킹… ‘하늘궁전’ 입궁

中 선저우 9호 도킹… ‘하늘궁전’ 입궁

입력 2012-06-19 00:00
업데이트 2012-06-19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러 이어 유인도킹 성공

중국이 2020년 우주정거장 시대를 본격화하기 위한 최후의 관문인 유인 우주 도킹에 성공하면서 빠르게 우주대국의 입지를 굳혀 가고 있다.

관영 신화통신은 18일 오후 2시 7분(현지시간) 3명의 우주인을 태운 우주선 선저우(神舟) 9호가 지상 343㎞ 높이의 지구 궤도에서 실험용 우주정거장인 톈궁(天宮) 1호와 도킹했으며 오후 5시 7분 우주인 징하이펑(景海鵬)이 톈궁1호로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톈궁1호에 우주인이 진입한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무인 우주 도킹이 선저우 8호와 톈궁 1호의 합체에 그쳤던 데 비해 이번에는 두 비행체가 합체한 뒤 내부 통로를 연결해 우주인들이 톈궁 1호로 들어가면서 지난해 9월 발사된 실험용 우주정거장 톈궁 1호도 정식 가동됐다. 이날 도킹은 선저우 9호가 뒤따르던 톈궁 1호와 거리를 좁히는 자동 관제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2차 합체 때는 우주인들이 직접 우주선을 조종해 수동 도킹에 나선다. 지상과의 연결이 끊기는 등의 비상사태에 대비해 수동 조작을 통한 도킹 노하우를 쌓으려는 것이다.

중국의 도킹 기술은 미국의 1960년대 수준이지만 후발주자로서 빠르게 격차를 좁혀 가고 있다. 중국은 2003년 첫 유인우주선인 선저우 5호를 쏘아올린 데 이어 2008년 발사한 선저우 7호에서는 우주인을 우주 밖으로 내보내는 데 성공하는 등 지난 10년간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해 왔다. 실험용 우주정거장 수준인 톈궁 1호가 2013년 수명이 다하면 톈궁 2호와 3호를 쏘아올릴 예정이다. 또 2016년부터 정식 우주정거장 모듈을 차례로 쏘아 올려 2020년부터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을 건설·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미국은 2017년까지 새로운 유인우주선 실험을 하지 않기로 했고 러시아도 과거처럼 활발한 우주개발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2020년 미국과 러시아가 공동 운영하는 우주정거장은 수명이 다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돼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주정거장을 보유한 나라가 될 수도 있다.

우주 로켓 발사 횟수만 놓고 볼 때 중국은 2010년 러시아에 이어 미국과 나란히 공동 2위를 차지했다. 2011년부터는 미국(러시아 35회, 중국 19회, 미국 18회)을 제쳤고, 올해도 2위 자리를 굳힐 전망이다. 중국은 우주개발에 한 해 3조원을 쏟아붓고 있고, 순수 연구인력은 23만명으로 미국보다 10배나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이 우주정거장을 군사기지로 이용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2007년 위성 요격에 성공하고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자체 항법 시스템인 베이더우(北斗)를 구축하는 등 우주개발에 군사적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6-19 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