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인권에 큰 ‘흔적’… 삶의 얼룩은 지우지 못했다

흑인 인권에 큰 ‘흔적’… 삶의 얼룩은 지우지 못했다

입력 2012-06-19 00:00
업데이트 2012-06-19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A 폭동 도화선 로드니 킹, 폭력·이혼·장애 등 극복 못하고 의문의 죽음

1991년 3월 3일 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음주운전으로 경찰에 쫓길 때만 해도 로드니 킹은 자신이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사람 중 한 명이 되리라고는 상상치 못했다. 마침내 체포된 그가 현장에서 경찰관들에게 무자비하게 구타당하는 장면이 한 주민의 비디오 카메라에 잡히면서 남북전쟁 이후 가장 큰 인종분쟁이 촉발됐다. 이듬해 4월 폭행 경찰관 4명에 대해 무죄 평결이 내려지자 LA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흑인들의 폭동이 시작된 것이다. 이로 인해 1만여개 상점이 파괴됐고 한인 1명을 포함해 53명이 사망했다.

17일(현지시간) LA 자택 수영장에서 사망한 킹(47)은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미국 사회에 큰 ‘흔적’을 남겼다. LA 폭동은 미국 공권력의 흑인에 대한 자세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994년 백인 아내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전 흑인 미식축구 선수 OJ 심슨이 무죄 판결을 받은 데에도 LA 폭동이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 있을 정도다. 폭동 이후 LA시는 흑인과 아시안계 등 비주류 인종의 경찰 채용을 늘리는 등 인종적 다양성을 꾀했다. 흑인들의 집중적 약탈 대상이 됐던 한인사회에서도 흑인사회와 융화해야 한다는 자성론이 일었다. 킹은 얼마 전 CNN 인터뷰에서 “LA 경찰과 흑인의 관계가 20년 전에 비해 개선된 게 사실”이라며 “나를 폭행했던 경찰들을 모두 용서했다.”고 말했다.

킹은 폭동 이후 유명해졌고 보상금(380만 달러)을 받아 인생을 역전시켰지만, 삶은 순탄치 않았다. 청소년기부터 약물과 술에 탐닉했던 킹은 이후 무려 11차례나 경찰에 체포됐다가 풀려나기를 반복하며 경찰과 악연을 이어 갔다. 가정폭력과 음주운전, 과속운전 등 명백한 범법 사실이 있었지만 경찰이 일부러 킹을 체포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는 얘기도 돌았다. 손대는 사업마다 망하고 보상금도 탕진해 건설현장 일용직을 전전하기도 했다. 두 차례 결혼으로 세 자녀를 얻었으나 결국 실패로 끝났고, 20여년 전 폭행 후유증으로 두통에 시달리며 다리를 절게 됐다.

킹은 1994년 보상금 청구소송 때 시민 배심원으로 참여했던 신시아 켈리와 최근 결혼을 앞두고 새 출발을 다짐하던 참이었다. 특히 LA 폭동 20주년을 맞아 다시 언론의 조명을 받고 있었기에 그의 사망 소식에 미국이 놀라고 있다. 그는 누군가의 비디오 촬영으로 인생이 바뀌었지만, 그가 세상을 떠나는 장면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6-19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