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바라크 사망 임박” 이집트는 ‘혼수상태’

“무바라크 사망 임박” 이집트는 ‘혼수상태’

입력 2012-06-21 00:00
업데이트 2012-06-2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 결과 최종발표 앞두고 국민 관심 돌리기용 분석도

이달 초 종신형을 선고받고 교도소에 수감된 호스니 무바라크(84) 전 이집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혼수상태에 빠져 인공호흡기를 착용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사망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 건강 위독설이 제기됐지만 이번엔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대선 결과 발표(21일)를 앞두고 군부의 재집권 시도 등으로 가뜩이나 불안한 이집트 정국에 혼란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이집트 관영 메나통신은 무바라크가 이날 오후 카이로 남부의 토라 교도소 내 병원에서 심장마비와 뇌졸중 증세를 일으켜 헬기에 실려 외부 군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무바라크의 건강상태에 대해선 보도가 엇갈렸다. 메나통신은 무바라크의 심장 박동이 멈췄고, 심장충격기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면서 “임상적으로 사망한 상태”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집트 군 최고위원회의 맘도우 샤힌 장군은 CNN과 인터뷰에서 “위독한 상황이지만 임상적인 사망 상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군부의 한 관계자는 “의식불명 상태로 인공호흡기에 의존하고 있다.”고 전한 반면 다른 보안 관리는 무바라크가 혼수상태에 있지만 인공호흡기는 뗐으며 심장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여러 기관도 기능을 하고 있다고 AP통신에 말했다. 무바라크는 현재 15명으로 구성된 의료진의 도움을 받으며 안정을 되찾았으며 아내 수전이 그의 곁을 지키고 있다고 이 관리는 덧붙였다.

병원 주변에 무바라크를 지지하는 시민들과 반대하는 시위대들이 모여들면서 당국은 경찰 병력을 대거 배치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집트 시민 상당수는 무바라크의 건강위독설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BBC는 전했다. 지난해 7월에도 일부 언론이 혼수상태라고 보도한 이후 법정에 비교적 건강한 모습으로 나타난 것을 비롯해 그동안 수차례 위독설이 제기됐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났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무바라크와 그의 측근들이 교도소보다 시설이 나은 외부 병원에서 수감생활을 하려고 꼼수를 부리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으며, 한편에선 대선 결과에 대한 관심을 흩뜨리기 위한 방편으로 무바라크의 건강 상태를 이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다만 그가 지난 2일 종신형 선고 뒤 건강이 악화된 것은 사실로 보인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교도소 내 의료진은 지난 11일에도 심장 박동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심장충격기를 두 차례 사용했으며, 같은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두 아들이 아버지 곁에 머물도록 허용했다. 고령에다 지병이 있는 무바라크는 교도소에 수감되자 화병에 우울증까지 겹쳐 건강이 급격히 나빠진 것으로 추측된다.

무바라크는 지난해 2월 시민혁명의 여파로 권좌에서 물러난 뒤 시나이반도의 홍해 휴양지에 칩거해 오다 첫 재판을 받은 지난해 8월부터 법원의 명령으로 카이로 인근 병원에서 머물렀으며, 종신형을 선고받은 직후 교도소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2-06-21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