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절반 아스피린 내성 가져

당뇨병 환자 절반 아스피린 내성 가져

입력 2012-06-25 00:00
업데이트 2012-06-25 09: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뇨병 환자는 절반 이상이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권장되고 있는 저단위 아스피린이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올버니 스트래턴 재향군인 메디컬센터 내분비-대사실장 수바시니 야투루(Subhashini Yaturu) 박사가 2형(성인)당뇨병 환자 150명(평균연령 48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 결과 53%가 “아스피린 내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4일 보도했다.

이들은 혈액응고 과정에서 형성되는 화학물질인 11-디하이드로-트롬복산 베타-2(11DhTx-2) 수치가 다른 환자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소변검사를 통해 밝혀졌다.

이 화학물질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아스피린의 항응고 효과가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당뇨병이 시작된 지 오래된 사람일수록 이 수치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 당뇨병 환자의 초기 신장질환을 나타내는 마이크로 알부민의 소변 수치가 높은 사람도 이 화학물질의 수치가 높았다.

인슐린 생산, 인슐린 내성, 염증표지 등은 이 화학물질의 수치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놀랍게도 혈압이 높은 환자와 허리둘레가 긴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이 화학물질의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비추어 아스피린 내성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혈전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의 복용단위를 높이거나 다른 약을 사용하도록 야투루 박사는 권장했다.

이 연구결과는 휴스턴에서 열린 미국내분비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