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북 특사, 가나 못 가나

중국 대북 특사, 가나 못 가나

입력 2013-01-30 00:00
업데이트 2013-01-30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내부서 ‘회의론’ 고개

북한이 3차 핵실험 강행 의사를 접지 않는 가운데 중국이 북한에 특사를 보내 적극적으로 핵실험을 만류할 것인지에 국제 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북한이 특사를 ‘받아주는’ 모양새를 취한다면 3차 핵실험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특사 카드에 적지 않은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과거 주요 북핵 위기가 불거질 때마다 중국은 북한 고위층과 친분이 두터운 다이빙궈(戴秉國) 외교 담당 국무위원이나 왕자루이(王家瑞) 당 대외연락부장 등을 평양에 보낸 적이 있다.

그러나 중국 당·정이 이번에 특사를 파견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한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여러 방안 가운데 하나로 특사 파견을 고려할 수는 있지만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를 먼저 생각할 것”이라며 “설사 중국이 파견 방침을 정해도 북한이 특사를 받아줄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낮은 상태”라고 말했다.

중국과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 및 6자회담 존속 문제를 놓고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에 반발, 비핵화 포기 및 6자회담 사멸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중국은 최고 지도자인 시진핑(習近平) 총서기까지 직접 나서 한반도 비핵화와 6자회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렇듯 양측이 최소한의 접점마저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특사 파견은 북중 양국에 모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모양새다.

중국으로서는 특사를 공식 파견하고도 북한 핵실험을 저지하지 못했을 때 큰 부담을 지게 될 수밖에 없다.

북한의 처지에서도 중국 특사가 다녀가고 나서 핵실험 계획을 중단 또는 보류한다면 외부의 압력에 굴복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할 수 있다.

다른 외교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중국, 북한 모두 특사를 보내거나 받기 어려운 처지로 보인다”며 “북한과 중국은 공식·비공식 외교라인을 충분히 갖고 있어 굳이 특사 형식이 아니더라도 충분한 의사 교류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고위급 특사를 북한에 보내되 이를 비밀에 부치는 절충안이 검토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29일 “현재의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관련국들과 계속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해 각종 채널을 통해 북한에 핵실험 만류 의사를 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 강행 방침을 밝힌 직후 지재룡 주중 북한 대사를 불러 중국 측의 우려를 전하고 핵실험 자제를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내 여론도 특사 파견에 부정적인 쪽으로 흐르고 있다.

북한 전문가인 런위둥(任衛東)은 30일자 환구시보(環球時報)와의 인터뷰에서 외신을 중심으로 대북 특사설이 제기된 것은 사실에 맞지 않는 추측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면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양국 사이에 비공식적 소통이 오가고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북핵을 저지하기 위한 특사단을 공식적으로 파견하는 것은 ‘대국’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환구시보도 기사에서 “중국이 북한의 정책을 대신 만들어줄 수는 없다”며 중국이 가진 대북 영향력에 대한 외부 세계의 지나친 기대감에 불만을 드러냈다.

따라서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효과가 의문시되는 대북 특사 파견보다는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강행하는 최악의 상황까지 가정해놓고 대북 제재 강화 등 향후 대응 방안 모색에 주력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