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필리핀 ‘전방위 압박’…필리핀 ‘신중 모드’

대만, 필리핀 ‘전방위 압박’…필리핀 ‘신중 모드’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15: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력시위 추진” vs “조사 결과후 대응”양국 ‘해킹 전쟁’에 중국도 가세

대만과 필리핀이 최근의 대만어선 피격사건 처리방향을 둘러싸고 현격한 시각차만 드러내는 등 양국 관계가 급속 경색되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당국이 관련사건을 조사중인 만큼 결과를 지켜본 뒤 대응한다는 입장인 반면 대만은 필리핀의 관련 조치가 여전히 미흡하다며 위협 수위를 연이어 높이고 있다.

특히 대만은 필리핀이 제때에 공식으로 사과하지 않을 경우 F-16 전투기와 함대를 분쟁해역에 보내 무력시위에 나선다는 입장이어서 남중국해 주변해역에 긴장감이 고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베니그노 아키노 대통령은 13일 외교부가 관련사건을 조사중이라며 신중한 행보를 나타냈다고 필리핀 ABS-CBN방송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그는 특히 필리핀 노동력 수입을 전면 동결할 것이라는 대만 정부의 위협에 대해서도 “필리핀 대표부의 공식 보고를 받은 바 없다”며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이에 앞서 아비가일 발테 대통령궁 부대변인도 유족들에 대한 진심 어린 애도와 위로를 표한다는 입장을 전하면서 사건 경위에 대한 조사가 진행중인 만큼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테 대변인은 특히 총격사건이 필리핀 최북단 바타네스제도 부근의 필리핀 영해에서 해경 경비정이 불법조업을 단속하던 중 발생한 사건이라며 정당한 임무수행임을 거듭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대해 대만 당국은 필리핀의 대응조치에 여전히 불만을 표시하며 정식 사과를 거듭 요구하는 등 대응 수위를 높였다.

이에 따라 대만이 당초 제시한 72시간의 최후통첩 시한 안에 양측이 원하는 수준의 타협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마저 제기되고 있다.

대만 총통부는 전날 “필리핀 대통령궁이 이번 사건과 관련한 우리의 요구사항을 그런 형태로 계속 대응하면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만은 오는 14일 자정까지 필리핀이 공식 사과 등 긍정적인 조치를 하지 않으면 필리핀 노동력 수입동결과 필리핀 주재 대만 대표부 대표 소환 등의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필리핀 대표부 대표에 대해서도 철수를 요구할 계획이다.

대만 국방부는 해군 함정의 남방 정찰을 실시하고 순시선을 대만과 필리핀 사이 바시해협 남단으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변국과 갈등을 빚는 남중국해 난사(南沙)와 둥사(東沙)군도 순찰 범위도 어선 조업활동 범위에 맞춰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아울러 필리핀이 시한까지 사과하지 않으면 F-16 전투기와 함대를 분쟁 해역에 보내 필리핀을 가상의 적으로 규정하는 주권 시위를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대만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남중국해에서의 ‘발언권’ 강화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한편 대만과 필리핀 간 해양 영유권 갈등이 ‘해킹 전쟁’으로까지 비화한 가운데 중국 해커들도 필리핀 정부 기관 사이트 공격에 나서도 있다고 대만 중국시보가 전했다.

중국 해커들은 필리핀 정부 사이트를 공격해 자국 국기인 오성홍기 사진과 함께 “중화민족을 화나게 한 자는 반드시 응징받을 것이다” “공식적으로 대만과 중국 정부에 사과하라” 등의 글을 남겼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