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경제 대국들, 신흥 ‘메콩강 경제권’ 주도권 경쟁

[글로벌 경제] 경제 대국들, 신흥 ‘메콩강 경제권’ 주도권 경쟁

입력 2013-09-10 00:00
업데이트 2013-09-10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개국 인구 2억 3000만명 中 대체할 글로벌 생산기지 인건비는 中 3분의 1 수준

박근혜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인도차이나 반도의 국가들을 뜻하는 ‘메콩강 경제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지역은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생산기지인 데다, 해마다 6% 이상 성장하는 대소비시장으로 탈바꿈하고 있어 경제대국들의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9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메콩강 경제권은 동남아 지역 최대 하천인 메콩강(4350㎞)을 낀 태국과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등 5개 나라를 말한다. 중국 윈난(雲南)성 등 인접지역을 포함해 ‘확대 메콩강 유역’(GMS·Great Mekong Subregion)으로 범위를 넓혀 정의하기도 한다.

2억 3000만명에 달하는 인구와 한반도 면적의 4배에 달하는 크기, 원유와 천연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 덕분에 전 세계에서 성장 잠재력이 가장 큰 지역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떠오른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도 있다. 이곳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태국 밧화(貨)를 결제통화로 쓰고 있어 ‘밧 경제권’으로도 부른다.

최근 메콩강 경제권이 각광받는 것은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서 경쟁력을 잃어가는 상황과 관계가 깊다. 중국의 지난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6091달러로 1990년대 초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더 이상 인건비 만으로는 제조업 경쟁력을 지키기 어렵게 된 것이다. 미국의 미래전략 전문가인 조지 프리드먼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메콩강 경제권 국가들에 밀리면서) 저임금에 기대서 세계시장을 정복한 중국의 경제 발전이 끝나가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반면 베트남과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의 알파벳 앞 글자를 딴 ‘CLMV’ 국가들의 인건비는 아직도 중국의 20~30% 수준에 불과하다. 이 지역의 연평균 경제성장률도 6%를 넘어 소비시장으로서의 가치도 커지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인구가 9000만명에 달하고 1인당 GDP도 중국의 4분의1 정도여서 중국을 대체할 최적의 생산기지로 평가받는다. 경제 전문가들은 베트남이 태국을 제치고 향후 메콩강 경제권의 맹주(盟主)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베트남 경제 주도권을 쥐려는 주변 국가들의 경제 전쟁도 가열되고 있다. 중국은 지역적 장점을 십분 활용해 베트남과 맞붙은 윈난성 등 화남 지역을 전진기지 삼아 각종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도 ‘공적개발원조(ODA) 카드’를 내세워 베트남 환심 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 미국, 러시아에 이어 네 번째 방문국가로 일본 대신 베트남을 택한 것 역시 이곳을 지렛대 삼아 인도차이나 반도의 영향력을 넓히려는 속내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9-10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