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시리아 결의안 근접한듯…막판 진통 중

유엔 시리아 결의안 근접한듯…막판 진통 중

입력 2013-09-26 00:00
업데이트 2013-09-26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리아 화학무기 해체 결의안의 초안 작성을 둘러싸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막바지 진통을 겪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등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이 초안 합의를 끝냈는지를 두고 외신별로 보도가 엇갈려 결의안 통과 시점 등에 관한 전망이 쉽지 않다.

블룸버그통신은 25일(현지시간) 뉴욕발 기사에서 5개 상임이사국이 이날 점심때 초안의 핵심 사안에 합의했다고 익명을 요구한 유엔 외교관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과 러시아는 시리아가 화학무기 폐기를 거부할 때 무력 제재를 가할지를 두고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이 사안이 해결됐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반면 로이터 통신은 초안 골자가 합의됐다고 두 외교관을 인용해 보도했다가 40분 만에 후속 기사로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정정했다.

안보리의 러시아 대표단 대변인은 “(주요 내용이 합의됐다는) 얘기는 서방의 희망 사항이고 사실이 아니다. 초안에 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고 로이터에 밝혔다.

미국 당국자도 “진전은 있지만 일이 끝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러시아의 외교차관을 인용해 앞으로 이틀 내에 결의안의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겐나디 가틸로프 차관은 “결의안 조율 협상이 상당히 잘 진행되고 있으며 아주 이른 시일 내에 마무리될 것”이라면서 “이틀 내에 그렇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파괴 행위에 대한 군사적 제재’를 명시한 유엔헌장 제7장이 결의안에서 언급될 예정이지만 이것이 곧 제7장이 자동적으로 적용될 것임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시리아에 군사 제재를 하려면 또 다른 안보리 결의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크 라이얼 그랜트 주유엔 영국대사도 결의안과 관련된 상임이사국 사이의 견해차가 며칠 내로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고 AP통신은 덧붙였다.

유엔 상임위 결의안은 지난달 독가스 학살 파문을 일으킨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에 화학무기 폐기를 강제하는 필수 절차다. 시리아 정권은 이 결의안에 따라 내년 중순까지 보유 화학무기를 전량 국제사회에 넘기게 된다.

상임이사국 5개국(미국·러시아·영국·프랑스·중국)은 모두 거부권을 갖고 있어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결의안은 무산된다.

이 결의안 초안은 상임이사국 합의가 끝나면 한국과 아르헨티나 등 비상임이사국 10개국에도 제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