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은행 위기 가능성 배제 못한다”

“아시아 은행 위기 가능성 배제 못한다”

입력 2013-10-04 00:00
업데이트 2013-10-04 09: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여신·채무 거품이 최대 위협”…아베노믹스에도 경고

아시아는 국제 금융 소요를 상대적으로 덜 충격받고 넘기기는 했으나 특히 중국에서 비롯되는 역내 은행 위기 가능성이 있다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4일 자에 의하면 S&P는 중국의 여신과 채무 거품이 아시아 금융 안정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S&P는 중국의 이른바 ‘그림자 금융’(비은행권 금융)에 대한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S&P 보고서는 “아시아의 금융 위기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난 몇 년 재무제표상에 나타나는 거래와 장부 외 거래 모두가 급증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여기에 부동산 가치까지 크게 뛰어 이것들이 은행 자산과 수익성 및 어쩌면 유동성에까지 충격을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중국은행들의 이런 취약함이 어제오늘의 새로운 일은 아니라면서 “최악에는 중국 당국이 구제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여전히 판단한다”고 밝혔다.

S&P는 이어 인도 은행도 성장 둔화와 통화 가치 하락 및 금리 인상이라는 삼중 위협에 직면해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아베노믹스에 대한 낙관론을 견제하면서 “구조개혁 없이는 장기적으로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