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가계부채 이어 기업 부실채권 문제 대두”< FT>

“韓, 가계부채 이어 기업 부실채권 문제 대두”< FT>

입력 2013-10-14 00:00
업데이트 2013-10-14 0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양·STX 사태로 우려 증대”…”한국 경제에 약” 분석도

이미 과도한 가계 부채를 짊어진 한국이 동양·STX·금호산업 등의 잇따른 법정관리·부실 사태로 인해 기업 부실채권 문제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 지적했다.

FT는 기업 부실 사태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부실 채권을 증가시켰고, 동양그룹이 법정관리 직전 발행한 회사채 등을 둘러싸고 법적 다툼도 벌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신문은 최근 기업 부실 사태의 원인으로 한국의 내수 경기 부진과 함께 이명박 정부 초기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 당시 기업에 대한 과도한 지원으로 공적자금에 의존하는 기업들이 많이 생긴 점을 들었다.

경제개혁연대 소장인 김상조 한성대 교수는 “국가의 지원 덕에 금융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일부 재벌 그룹들이 구조조정이 지연된 결과로 지금 한계 상황을 맞고 있다”고 FT에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적절한 구조조정 타이밍을 놓치면 다른 재벌 그룹도 실패를 겪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피치의 장혜규 애널리스트는 “건설, 조선, 해운 등 업종의 경기가 이른 시일에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이들 업종 기업의 채권을 가진) 은행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위기가 결과적으로 한국경제에 약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권영선 노무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동양 사태가 회사채 발행 등의 방법으로 위기를 모면하려는 다른 부실기업의 구조조정을 가속화해 자본이 더 효율적으로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