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성폭행 누명’ 흑인들, 80여년만에 사후 사면

美 ‘성폭행 누명’ 흑인들, 80여년만에 사후 사면

입력 2013-11-22 00:00
업데이트 2013-11-22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30년대 인종차별 판결 ‘스코츠버러 사건’…피고인 3명 뒤늦게 억울함 풀어

1930년대 미국의 대표적인 흑인 차별 판결로 알려진 ‘스코츠버러 사건’의 피고인들에게 사후(死後) 사면이 승인되면서 사건의 결말이 새로 쓰이게 됐다.

앨라배마주 가석방위원회는 21일(현지시간) 스코츠버러 사건에 대한 심리를 열어 이 사건에서 유죄로 남아있던 피고인 헤이우드 패터슨, 찰스 윔스, 앤디 라이트 등 3명에 대해 만장일치로 사후 사면을 승인했다.

이 같은 결정은 지난 4월 주 상원의회에서 ‘체포 시점 기준으로 80년 이상 된 사건에 대해 사후 사면을 인정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통과됨에 따른 것이다.

스코츠버러 사건은 1931년 흑인 소년 9명이 화물열차 안에서 백인 소녀 2명을 성폭행했다는 이유로 사형 및 종신형을 선고받은 사건이다.

당시 재판에 참여한 배심원들이 전원 백인이었던 데다 피해자 중 1명이 후에 자신의 증언이 거짓이라고 밝혔음에도 소년들에게 유죄가 선고돼 인종 차별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피고인 중 5명에 대한 판결은 1937년 뒤집혔다. 또 다른 피고인 클래런스 노리스는 사망 전인 1976년 사면을 받았다.

이때만 해도 앨라배마 주법상 사후 사면이 허용되지 않았기에 이미 숨진 피고인들은 사면 대상에서 제외됐다. 노리스는 당시 9명의 피고인 중 유일한 생존자였다.

해당 법안을 발의한 아서 오르(공화) 주 상원의원은 “증거를 무시한 배심원단과 관리들이 스코츠버러 소년들의 삶을 망쳤다”며 “이제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2010년 세워진 ‘스코츠버러 소년 박물관’의 설립자인 셸리아 워싱턴은 “이번 사면으로 새로운 결말이 쓰이게 됐다”며 “역사책에 스코츠버러 사건은 무죄로 기록될 것”이라며 기뻐했다.

스코츠버러 사건은 지금까지 미국에서 인종 차별로 초래된 비극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 사건은 노래와 서적, 영화 등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2010년에는 브로드웨이 뮤지컬로도 제작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