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방공구역 비행계획 中에 사전통보 권고”

美 “방공구역 비행계획 中에 사전통보 권고”

입력 2013-11-30 00:00
업데이트 2013-11-30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국 항공사에 협조 요청…”승객 안전 고려한 조치”

중국과 일본의 방공식별구역(ADIZ)에 포함된 것으로 드러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전경. 제주도 남방 마라도 서남쪽 149㎞에 위치한 이어도는 수중 암초로 우리쪽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있으며, 기지는 2003년 완공됐다.  제주 뉴시스
중국과 일본의 방공식별구역(ADIZ)에 포함된 것으로 드러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전경. 제주도 남방 마라도 서남쪽 149㎞에 위치한 이어도는 수중 암초로 우리쪽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있으며, 기지는 2003년 완공됐다.

제주 뉴시스
미국 정부가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을 통과하는 자국 민간 항공사들에 비행계획을 사전에 중국 정부에 알릴 것을 권고했다고 뉴욕타임스(NYT)와 AP통신 등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중국이 최근 동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을 새로 설정하고 해당 지역을 지나가는 모든 항공기에 비행 계획을 사전에 제출하라고 요구한 것과 관련, 자국 항공사들이 중국 정부의 방침에 따를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성명에서 “미국 정부는 국제선을 운영하는 미국 항공사들이 외국(정부)의 ‘통보 요구’(notice requirements)에 따를 것을 대체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무부는 그러나 “이런 방침이 미국 정부가 중국의 요구를 받아들인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 정부의 이런 결정은 사고나 의도하지 않은 대립으로 일반 승객들이 위험에 처하는 일이 없게 하려는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설명했다.

중국이 일방적으로 선포한 방공식별구역의 정당성을 인정하지는 않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민간 항공사에 한해 이같이 권고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미국 정부의 이런 입장은 앞서 일본 정부가 일본항공(JAL) 등 자국 항공사들에 중국 당국에 비행계획을 사전에 통보할 필요가 없다고 밝힌 것과는 대비된다고 NYT는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3일 중국 정부가 방공식별구역을 새로 설정한 이후에도 사전 통보 요구에 응하지 않고 해당 지역에 군용기를 출격시키는 등 ‘평상시 활동’을 계속 하고 있다.

중국도 29일 오전 전투기를 긴급발진시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한 미군과 일본 항공자위대 군용기를 견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