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軍위안부·센카쿠 놓고 ‘대만 끌어안기’ 경쟁

중일, 軍위안부·센카쿠 놓고 ‘대만 끌어안기’ 경쟁

입력 2014-02-13 00:00
업데이트 2014-02-13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외교·군사 갈등을 빚는 일본을 의식해 대만과의 첫 양안 장관급 회담을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만 중국시보 등은 양안 회담 중국 측 대표인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장즈쥔(張志軍) 주임이 12일 중국 난징(南京)시에 있는 난징대학살 기념관을 방문했다고 13일 전했다. 장 주임은 이 자리에서 “양안이 중화민족의 고통의 역사를 기억하고, 일본 우익 세력의 도발 행위에 단호하게 반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일본 공영방송 NHK 경영위원회 위원인 작가 햐쿠타 나오키(百田尙樹)가 지난 3일 난징대학살은 근본적으로 없었으며 국민당을 이끌던 장제스(蔣介石)가 멋대로 과장해 만든 이야기라고 주장한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중국 대만사무판공실 마샤오광(馬曉光) 대변인도 이날 양안 회담 대표인 대만 대륙위원회 왕위치(王郁琦) 주임위원의 중산릉(中山陵·쑨원 묘역) 참배와 관련 논평에서 “양안 동포가 쑨원 선생의 정신을 계승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라고 언급했다.

중국은 다만 대만 측 왕위치 주임위원의 ‘민감 발언’에 대해선 촉각을 곤두세웠다. 중국 관영 CCTV는 왕 주임위원이 중산릉 참배 당시 양안이 분리 통치되고 있고, 중화민국(대만의 공식 국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취지로 ‘양안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발언한 부분을 삭제하고, 해당 보도를 내보냈다고 대만 언론은 전했다.

중국은 일본이 2012년 9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치를 단행한 이후 영토 분쟁 등 현안과 관련해 일본과 대만이 연대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견제해 왔다. 이런 점에서 중국이 정부 간 대화로 인식되는 부담을 감수하면서 양안 장관급 회담을 수용한 것도 다분히 일본을 염두에 둔 정치적 결정으로 보인다고 대만 매체는 해석했다.

이에 앞서 일본은 지난해 4월 센카쿠 근해 어장을 대만 측에 대폭 양보하는 내용으로 대만과 어업협정을 체결하는 대만의 손을 잡으려고 공을 들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