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이비 기자 피해 속출…비리 공무원도 표적

중국, 사이비 기자 피해 속출…비리 공무원도 표적

입력 2014-09-09 00:00
업데이트 2014-09-09 1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갈·허위사실 보도 등 76개 정기간행물 발행 중단

중국에서 최근 언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사이비 기자들이 문제가 있는 기업이나 개인을 협박해 금품을 갈취하는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반부패 활동이 강화되면서 부정이나 비리를 저질러 약점이 있는 공무원들도 이들 사이비 기자의 주된 표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신화망(新華網)은 9일 정부가 공개한 대표적인 사이비 기자 피해 사례들을 상세히 소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윈난(雲南)성 푸위안(富源)현에서는 관영 매체 기자를 사칭한 한 사기꾼이 촌민 400여명에게 “성(省) 정부 지도자들과 잘 아는 사이니 정부의 토지보상금을 더 받게 해주겠다”고 속여 착수금 명목으로 5만위안(약 800만원)을 받아 챙겼다가 현지 경찰에 붙잡혔다.

허난(河南)성 난양(南陽)시에서는 최근 5년간 기업과 개인을 상대로 “기사를 써서 문제점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해 16만5천위안(2천700만원)을 뜯어낸 사이비 기자가 검거됐다.

산시(陝西)성 싱핑(興平)시에서는 사이비 기자 4명이 ‘산시 TV방송국’ 기자를 사칭하며 카메라를 들고 시 수리국, 시 공안국 산하 파출소 등 관공서를 돌며 ‘사건취재’를 하다 공안요원들에게 적발돼 체포됐다. 이들은 지역의 광고회사 직원들로, 방송 카메라에 멋대로 지역 방송국의 이름을 붙이고 가짜 명함을 만들어 공갈·협박을 일삼아 8만위안(1천300만원)을 뜯어낸 것으로 드러났다.

푸젠(福建)성 룽옌(龍岩)시에서는 사이비 기자 2명이 불법 조업으로 채굴이 중단된 광산과 관련, 환경 파괴 실상과 직무 유기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지방 공무원들을 협박해 3만위안(500만원)을 요구하다가 붙잡혔다.

중국에서 기자로 활동하려면 정부가 발급한 기자증이 필요하지만, 일부 사이비 기자들은 직접 위조하거나 인터넷에서 구매한 가짜 기자증을 들고 다니며 기업과 공무원을 상대로 금품을 뜯어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런 피해가 급증하자 지난 4월부터 전역에서 사이비 언론 매체와 지사·지국, 기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전을 벌여 공갈, 금품수수, 허위사실 보도 등의 문제를 일으킨 신문·잡지 등 76개 정기간행물의 발행을 중단시키고 지사·지국 49곳을 폐쇄하는 한편 기자증 1만4천여건을 취소했다.

일각에서는 사이비 언론 척결 과정에서 당·정 기관이나 국유기업의 비리를 폭로한 양심적인 기자들까지 외압에 못 이겨 사직하거나 해고되고 있다며 당국의 언론 통제 강화에 대한 우려도 나타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