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실리콘밸리 기업들, 보수 로비단체 잇따라 탈퇴>

입력 2014-09-26 00:00
업데이트 2014-09-26 0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후변화 문제 등 이슈 의견차…구글은 탈퇴 선언하며 강도 높은 비난

미국 주 의회를 상대로 정부 규제를 반대하는 활동을 벌여 온 유력 로비단체 ‘미국 입법 교류협회’(ALEC)에서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잇따라 탈퇴했다.

이는 총기 문제나 기후변화 대응 등 미국에서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는 이슈에 대해 이 단체가 보수 쪽에 치우친 목소리를 내면서 회원 기업들의 이미지가 훼손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최대 포털업체 야후는 핵심 이슈에 관한 의견 차이를 해소하지 못했다며 ALEC에서 탈퇴한다고 발표했다.

이 업체는 “우리는 정기적으로 참여 중인 단체의 회원 자격을 유지할 것인지를 검토하는데, 지금 시점에서 우리는 ALEC의 통신·테크 태스크포스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인 페이스북은 2015년에 ALEC 회원 자격을 갱신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지난 24일 언론에 배포했다.

음식점 리뷰 사이트로 유명한 옐프는 지난해에 ALEC에 가입했으나 올해 곧바로 탈퇴했다.

이에 앞서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세계 최대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인 구글도 ALEC 탈퇴를 선언했다.

특히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이번 주 미국 공영방송 NPR에 출연해 ALEC이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반대하는 점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슈미트 회장은 구글이 2011년 ALEC에 가입했으나 이는 잘못한 일이었다며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우리 자녀와 손자 손녀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이며 세상을 훨씬 나쁜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그런 사람들과 함께 해서는 안 된다. 그 사람들은 문자 그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수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본부를 둔 ALEC은 1973년 설립된 입법 로비단체다.

미국 주 의원의 4분의 1과 접촉하고 있다는 것이 ALEC의 주장이다.

이 단체는 총기 규제를 완화하는 입법 로비 활동도 펴 왔다.

ALEC 공보담당자인 빌 메이얼링은 블룸버그 통신에 “인정하기는 고통스럽지만,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테크 기업 중 많은 수가 비슷한 정책 목표를 갖고 있으므로 이런 연쇄 탈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테크 기업들이 이 나라 의원들의 25%와 대화할 기회를 잃을 것이라는 점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의 ALEC 탈퇴를 촉구해 온 시민단체 ‘미디어와 민주주의 센터’는 지금까지 코카콜라, 제너럴 모터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 80여 개 기업이 ALEC을 탈퇴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