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검진, 80세 넘으면 이익 보다 불이익이 더 크다

대장암 검진, 80세 넘으면 이익 보다 불이익이 더 크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13 10:39
업데이트 2019-02-13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 후생노동성 연구팀, 생존연장과 부작용 비교 분석 결과

최근 서구식 식생활이 일반화되면서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을 예방하려면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주기적인 대장내시경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진은 일선 의료기관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최근 서구식 식생활이 일반화되면서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을 예방하려면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주기적인 대장내시경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진은 일선 의료기관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80세가 넘으면 대장암 검진을 통해 생존기간이 연장되는 이익에 비해 검진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한 불이익이 더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일본 후생노동성 연구팀이 연령과 연대별 대장암 이환율과 사망률, 검진에 따른 부작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내린 결론이다.

암검진은 암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함으로써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암검진에는 일정한 비율로 검진과 치료약 또는 임상시험약 투여과정에서 피검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생긴다. 대장암 검진의 경우 내시경 정밀검사 과정에서 장에 상처가 생기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도 있다. 유해사상(有害事象)이라고 불리는 이런 부작용은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연령, 연대별 대장암 이환율과 사망률, 유해사상 발생률, 검진 수진율 등의 데이터를 토대로 생존기간 연장과 유해사상 발생건수를 추산했다.

연령 상한을 70세로 한 경우 상한을 65세로 한 경우에 비해 유해사상 발생건수가 31.7% 증가하고 생존기간 연장도 33.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상한을 85세로 한 경우와 80세로 한 경우를 비교한 결과 유해사상은 35.8% 증가한 데 비해 생존기간 연장은 4% 증가에 그쳤다.

일본은 암검진 대상을 정부가 가이드라인으로 정해 놓고 있다. 대장은 40세 이상이 대상이지만 상한선은 정해 놓지 않았다. 외국의 경우 미국이 검진대상 상한연령을 75세로 하는 등 검진에 따른 이익과 불이익에 관한 추계연구 결과 등을 참고해 상한연령을 정해 놓은 국가도 있다.

연구팀의 후쿠이 게이스케(福井敬祐) 오사카(大阪)의대 연구지원센터 조교는 13일 아사히(朝日)신문에 “이번 연구결과만으로 검진 권장연령 상한을 정할 수는 없지만 80세가 넘으면 불이익이 이익 보다 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대장암 검진 간격과 비용대비 효과 등에 관한 연구를 해 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