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트럼프 발언, 실언이면 다행…계획된 도발이면 우리도 맞대응 폭언”
트럼프 ‘로켓맨’ 발언에 “불쾌함 자제 못해”“최고존엄에 감히 비유법을…인민 증오”
“의도적으로 다시 쓰면 매우 위험한 도전”
트럼프 “金, 계속 로켓쏴서 ‘로켓맨’ 불러”
트럼프 “원하지 않지만 필요하면 군대 사용”
트럼프 “신뢰하지만 金 비핵화 약속 지켜야”
제2차 북미정상회담 둘째날인 지난 2월 2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회담 도중 심각한 표정을 하고 있다. 2019.2.28
EPA·AP 연합뉴스
EPA·AP 연합뉴스
최 제1부상은 5일 발표한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무력사용 발언과 비유 호칭이 즉흥적으로 불쑥 튀어나온 실언이었다면 다행이겠지만, 의도적으로 우리를 겨냥한 계획된 도발이라면 문제는 달라진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최 제1부상은 “바로 2년 전 대양 건너 설전이 오가던 때를 연상시키는 표현들을 의도적으로 다시 등장시키는 것이라면 그것은 매우 위험한 도전이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무력사용과 비유 호칭이 다시 등장하는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담화는 ‘미국이 무력을 사용하면 우리 역시 신속한 상응행동을 하겠다’는 박정천 군 총참모장의 전날 담화에 이어 나온 것이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이 22일(현지시간) 모스크바 외무부 청사에서 회담을 마치고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최 제1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 대해 로켓맨으로 다시 부른 데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우리가 더욱더 기분 나쁜 것은 공화국의 최고 존엄에 대해 정중성을 잃고 감히 비유법을 망탕 쓴 것”이라면서 “이로하여 미국과 미국인들에 대한 우리 인민들의 증오는 격파를 일으키며 더한층 달아오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미국대사 관저에서 기자회견를 열고 “김 위원장이 계속해서 로켓을 쏘기 때문에 ‘로켓맨’이라고 부른다”며 2년 만에 다시 ‘로켓맨’을 언급했다.
로켓맨은 북미 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7년 하반기 사용했던 별명으로 김 위원장을 조롱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미국 대사 관저인 윈필드 하우스에서 옌스 스톨텐버그 나토 사무총장과 대화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그는 “만약 이러한 표현들이 다시 등장해 우리에 대한 미국의 계산된 도발이었다는 것이 재확인될 경우 우리 역시 미국에 대한 맞대응 폭언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언급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모욕적인 별명을 사용했지만, 북한은 똑같이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해 일단 대치 상황이 악화되는 것은 막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런던에서 김 위원장과의 직접 만남 이후에도 북한이 여러 차례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는 지적에 “김 위원장을 신뢰하고 매우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면서도 “미국은 역사상 가장 강한 군대를 갖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다. 이를 사용하지 않기를 원하지만, 그래야 한다면 우리는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그는 “김 위원장은 비핵화 합의를 준수해야 한다. 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김정은,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 참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보도에 공개된 초대형 방사포 사진에는 이전 발사 때와 같은 차륜형 이동식발사대(TEL)에 발사관 4개가 식별됐다. 2019.11.29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전투적용성 최종검토 목적”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하에 초대형 방사포 연발시험사격을 진행했다고 2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중앙통신 홈페이지가 공개한 사진으로, 차륜형 이동식발사대(TEL) 위 4개의 발사관 중 1개에서 발사체가 화염을 뿜으며 치솟고 있다. 2019. 11.29
연합뉴스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