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방역 성공 韓·中·獨 2차 유행 조짐… 방심에 ‘뒷문’ 열렸나

초기 방역 성공 韓·中·獨 2차 유행 조짐… 방심에 ‘뒷문’ 열렸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5-11 23:34
수정 2020-05-12 0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中, 지린성서 집단감염… 다시 두 자릿수
마스크 벗는 獨, 도축장·양로원 확진 급증
가디언 “예방의 역설… 방역 피로도 커져”
WSJ “韓, 정상으로 회귀 어려움 입증 사례”
이미지 확대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늘어나면서 지난 10일 서울의 한 대형병원 입구에 ‘이태원 일대 클럽을 방문한 적이 있는 환자 또는 동거 가족은 직원에게 알려 달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오장환 기자 5zzzang@seoul.co.kr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늘어나면서 지난 10일 서울의 한 대형병원 입구에 ‘이태원 일대 클럽을 방문한 적이 있는 환자 또는 동거 가족은 직원에게 알려 달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오장환 기자 5zzzang@seoul.co.kr
‘코로나19 종식 단계’로 접어들었던 우리나라에서 서울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으로 재유행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그간 바이러스 대처에 성공했다고 평가받던 중국과 독일 등에서도 확진환자가 급증해 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의 전염력이 생각보다 강력하다는 걸 보여 주는 동시에 구성원들이 긴장감을 잃어 방역의 ‘뒷문’이 열렸다는 진단도 제기된다.

11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본토의 누적 확진환자는 8만 2918명, 사망자는 4633명이다. 전날보다 감염자가 17명 늘었다. 이달 들어 중국 내 신규 환자는 하루 1~2명에 그쳤지만 지난 9일부터 지린성 수란에서 집단감염이 나타나면서 두 자릿수로 돌아갔다. 현재 수란시는 도시 전체를 봉쇄하고 상점 영업을 제한하고 있다.

지린성과 가까운 랴오닝성과 헤이룽장성 역시 확진환자가 생겨나 동북 3성 전역이 충격에 빠졌다. 코로나19 발원지인 후베이성 우한에서도 9일부터 감염자가 나타나 재확산 우려가 상당하다. 바인차오루 지린성 당서기는 대책 회의에서 “(바이러스 발생 이후) 4개월간 노력해 안정을 찾았는데 이번 집단 발병으로 또다시 위험에 빠졌다”며 “아직도 방역에 허점과 부족함이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을 잘 막아 낸 독일도 최근 도축장과 양로원을 중심으로 확진환자가 급증해 애를 먹고 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독일에서는 코로나19 재생산지수가 1을 넘어서 재유행 우려가 나온다. 재생산지수는 감염자 1명이 얼마나 많은 이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지를 나타낸다. 지난 6일만 해도 0.65에 불과했지만 9일부터 재차 오르기 시작했다. 이란은 감염자 발생이 줄어 지난달 중순부터 경제활동을 재개했다가 이달부터 환자가 다시 늘고 있다. 이날 기준 일일 신규 확진환자는 1683명으로 지난달 11일 이후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범 방역국’으로 꼽히던 싱가포르도 올해 3월 개학을 강행했다가 확진환자가 급증해 지난달 학교 문을 닫았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독일의 예를 근거로 “‘예방의 역설’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미국이나 이탈리아, 스페인과 같은 참사는 피했지만 감염병에 대한 피로도가 커지면서 국민들이 엄격한 조치를 따르는 데 주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비유하자면 야구나 축구 경기 내내 승기를 지켰지만 종료를 앞두고 선수들이 방심해 동점이나 역전을 허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독일에서는 일부 주민이 상점이나 버스·지하철 등에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의무를 지키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슈투트가르트와 뮌헨 등에서는 시민 수천 명이 모여 “정부의 봉쇄 조치에 반대한다”며 시위를 벌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한국의 상황을 소개하며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입증하는 사례”라고 전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5-12 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