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헤이룽장성의 웨이산.
SCMP 캡처
SCMP 캡처
특히 10세기쯤 거대한 분화를 일으켰던 백두산이 이 마그마와 연결돼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주목된다.
중국 과기대학 장하이장 교수 등이 이끄는 연구팀은 중러 접경 지역인 헤이룽장성 우다롄츠 화산 지대에 있는 웨이산에 대한 연구 결과를 학술지 ‘지질학(Geology)’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센서로 지하 깊은 곳의 전자기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마그마를 탐지했다. 마그마는 일반적으로 암석보다 전도율이 낮기 때문이다.
中연구진 “거대 마그마류 2곳 포착”연구진은 웨이산 일대의 지하 15㎞와 8㎞ 지점에서 각각 이상신호를 포착했다. 연구진은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이용해 마그마가 대량으로 고여 있는 거대한 마그마류(溜) 2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또 상부 마그마류에는 마그마가 15% 정도 차 있다고 계산했는데, 기존 연구에 따르면 40%가 차면 화산이 폭발할 수 있다.
즉 화산 분출의 전 단계로서 ‘마그마 충전’이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한발 더 나아가 이 마그마류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라면서 “지질 구조판이 이동하는 이차적인 맨틀 대류를 통해 백두산과 연결돼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연구진은 2002~2005년 백두산의 화산 활동이 증가했다면서, 이는 마그마 활동이 증가한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연구진이 추정한 웨이산 마그마류.
과기일보 캡처
과기일보 캡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과기일보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중국 동북 지역에는 신생대에 형성된 화산이 많다. 백두산과 우다롄츠가 유명하다.
이 중 우다롄츠에는 14개의 화산이 있고, 1719~1721년 화산 폭발 기록이 있다.
SCMP는 “그 동안 학자들은 946년 강력한 폭발 기록이 남아 있는 남쪽의 백두산에 더 주목해 왔다”면서 “웨이산의 마지막 분출은 50만년도 더 넘어 사화산으로 평가됐기에 이번 발견은 놀랍다”고 전했다.
中 지진국 “화산 활동 관측 안돼…가능성 낮아”그러나 중국의 관련당국은 이 같은 주장에 회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중국지진국 지질연구소 활화산연구실의 쉬젠둥 주임은 ‘18세기 초 우다롄츠의 화산 폭발로 생긴 라오헤이산과 훠샤오산(火燒山) 화산을 수십년간 관측했지만 활발할 마그마류 신호가 탐지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해당 지역에 정말 큰 마그마류가 있다면, 관련된 화산 활동이 관측됐어야 한다”면서 “하부에 있는 마그마가 상부로 충전될 때 움직임이 있어야 하는데, 매우 조용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마그마류가 존재한다고 확정적으로 말하는 것조차 너무 이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 교수 연구팀이 탐지한 이상신호가 마그마류처럼 보이지만, 이는 물이나 바위 등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면서 “장기적인 화산 활동 자료를 통해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서 “최근 몇 년간 많은 연구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서 즉시 폭발이 있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그 때문에 정부는 해당 지역에 관측소를 세우지 않았고, 폭발에 대비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