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없이 살겠는가, 그들 없이 살겠는가” …우크라 암흑속으로

“전기 없이 살겠는가, 그들 없이 살겠는가” …우크라 암흑속으로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2-10-20 22:23
업데이트 2022-10-21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일(현지시간) 러시아군 공격으로 마을 전체에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중단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코로보치네에서 주민 올가(70)가 집 밖에 서 있다. 2022.10.18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러시아군 공격으로 마을 전체에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중단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코로보치네에서 주민 올가(70)가 집 밖에 서 있다. 2022.10.18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러시아군 공격으로 마을 전체에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중단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코로보치네에서 주민 올가(70)가 집 밖에서 눈물을 떨구고 있다. 2022.10.18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러시아군 공격으로 마을 전체에 전기 및 가스 공급이 중단된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코로보치네에서 주민 올가(70)가 집 밖에서 눈물을 떨구고 있다. 2022.10.18
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이나가 암흑 속으로 빠져들었다. 러시아군의 집요한 공격으로 전력 시설이 파괴되면서 전국적인 순환 단전에 돌입한 때문이다.

최근 남부와 동부 전선에서 수세에 몰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력 시설을 주요 공격 목표로 삼았다. 전기와 난방, 물, 가스 공급을 끊어 우크라이나인을 압박하는 전략이었다.

겨울철을 앞둔 상황에서 이런 러시아의 전략은 에너지 위기에 대한 공포를 키웠다. 우크라이나 에너지 장관 헤르만 할루셴코는 20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가 지난 열흘간 우크라이나 전력 시설을 300회 이상 공습했다”고 우려했다.

실제 러시아군은 19일에도 중부 드니프로페트로우스와 서부 빈니차,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지역에 위치한 발전소 3곳을 타격했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러시아 공격으로 정전이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어두컴컴한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고 있다. 2022.10.17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러시아 공격으로 정전이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어두컴컴한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고 있다. 2022.10.17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러시아 공격으로 정전이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어두컴컴한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고 있다. 2022.10.17  로이터 연합뉴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 러시아 공격으로 정전이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어두컴컴한 슈퍼마켓에서 장을 보고 있다. 2022.10.17
로이터 연합뉴스
이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날 전국적으로 전기 공급을 제한했다. 전기 공급 제한 조처가 발동된 것은 2월 24일 전쟁 발발 이후 처음으로, 시간은 이날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다.

이에 대해 할루셴코 장관은 정부가 에너지 사용량을 20%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고 있다고 전했다. 장관은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다. 자발적 감소로 본다”며 “하지만 충분하지 않을 때는 강제로 단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자신의 과거 명연설을 빌려 절전에 힘써줄 것을 호소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 공격으로 인한 계획 단전을 앞둔 19일(현지시간) 자정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절전에 힘써달라고 호소했다. 2022.10.19  젤렌스키 대통령 트위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 공격으로 인한 계획 단전을 앞둔 19일(현지시간) 자정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절전에 힘써달라고 호소했다. 2022.10.19
젤렌스키 대통령 트위터
젤렌스키 대통령은 단전을 앞둔 19일 자정쯤 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기 없이 살겠는가, 그들(러시아군) 없이 살겠는가”라고 주문했다. 자신의 질문에 “그들 없이 살겠다”고 답한 우크라이나 정부 공식 SNS를 공유하며 “이것이 우크라이나가 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이어 “절전에 동참해준 모든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고마움을 전한다”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덧붙였다.

일단 우크라이나 정부와 전력회사는 순환 단전 조치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전력 시설 피해가 워낙 커 단시간 내 원상복구는 어려울 전망이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