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교부, 尹 시진핑 방한 제안에 “제공할 소식 없어”

中 외교부, 尹 시진핑 방한 제안에 “제공할 소식 없어”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4-26 17:45
업데이트 2023-04-26 2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제공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제공
중국 외교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주중대사를 통해 제안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방한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소식이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대만해협 현상 변경’ 발언을 두고 한중 외교당국 간 충돌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서울을 찾을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시 주석 방한 관련 질문에 “중국과 한국은 각자의 우려와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 등을 포함해 양국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동하고자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며 “당신(기자)이 제기한 고위급 교류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소식이 없다”고 밝혔다. ‘지금도 충분히 대화하고 있는데 굳이 정상회담까지 열 필요가 있겠느냐’는 취지로 읽힌다.

앞서 정재호 주중대사는 지난 2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 주석에게 신임장을 제출하면서 ‘연내 방한을 통해 한중 고위급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시 주석을 향해 여러 차례 “편리한 시간에 한국을 찾아 달라”고 제안했다.

마오 대변인이 답변 과정에서 ‘각자의 우려’와 ‘민감한 문제’를 거론한 것은 윤 대통령이 지난 19일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힘에 의한 대만해협 현상 변경 반대’를 표명하고, 이에 대해 중국이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 “불장난을 하는 자는 불에 타 죽을 것” 등 강하게 반발한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한중 외교당국은 양국 정상회담 재개와 관련해 ‘누가 먼저 상대국을 찾느냐’를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2월 베이징을 방문한 뒤로 셔틀 정상외교가 중단됐다’며 이번에는 시 주석이 서울에 올 차례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은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고 새 정부가 출범했기에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자’며 윤 대통령이 베이징으로 오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다. 윤 대통령이 잇따라 시 주석을 초청한 것은 ‘우리가 중국에 먼저 가지 않는다’라는 속내가 담겨 있다.

이런 양국간 힘겨루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대만해협’ 발언까지 나오면서 한중 간 정상회담이 단시일 내에 열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