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열도는 우리땅!” 러, 새 역사교과서…영유권 분쟁 日 겨냥

“쿠릴열도는 우리땅!” 러, 새 역사교과서…영유권 분쟁 日 겨냥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8-02 15:17
업데이트 2023-08-02 15: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 쿠릴열도 지배 강화
영유권 분쟁 日 겨냥 해석
“교과서에 ‘쿠릴 상륙작전’ 상세 반영”
2차 대전 때 일본군 상대 군사작전


이미지 확대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쿠릴열도를 빼앗기 위해 소련군이 1945년 8월 18일에 개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규모 군사작전이다. 쿠릴열도 상륙작전 자료사진. 2023.8.1 캄차카주정부 보도자료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쿠릴열도를 빼앗기 위해 소련군이 1945년 8월 18일에 개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규모 군사작전이다. 쿠릴열도 상륙작전 자료사진. 2023.8.1 캄차카주정부 보도자료
러시아 교육부가 고교생들이 사용할 새 역사 교과서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옛 소련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실행한 ‘쿠릴열도 상륙작전’을 상세히 다룰 예정이라고 1일(현지시간) 인테르팍스 통신 등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캄차카주를 방문한 세르게이 크라브초프 러시아 교육부 장관은 이러한 방침을 밝히며 애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크라브초프 장관은 “10학년(한국식 고등학교 1년)이 사용할 새 역사 교과서에 쿠릴열도 상륙작전을 다루는 별도 부문을 마련할 것”이라며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러시아 역사와 세계사 부문 모두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역사 수업 및 과외 활동 등에서 애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국을 방어한 옛 소련군을 기리고 우리의 영웅적인 과거에 관한 지식을 젊은 세대에게 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방문 기간 크라브초프 장관은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캄차카주지사와 함께 쿠릴열도에서 벌어진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해군 수병들의 공동묘지가 있는 쿠릴열도 북단 슘슈섬 등을 방문했다.
이미지 확대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쿠릴열도를 빼앗기 위해 소련군이 1945년 8월 18일에 개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규모 군사작전이다. 쿠릴열도 상륙작전 자료사진. 2023.8.1 캄차카주정부 보도자료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쿠릴열도를 빼앗기 위해 소련군이 1945년 8월 18일에 개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규모 군사작전이다. 쿠릴열도 상륙작전 자료사진. 2023.8.1 캄차카주정부 보도자료
쿠릴열도 상륙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쿠릴열도를 빼앗기 위해 소련군이 1945년 8월 18일에 개시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대규모 군사작전이다.

크라브초프 장관이 밝힌 새 역사 교과서 제작 방침은 쿠릴열도 영유권 강화를 위해 러시아 정부가 진행 중인 각종 조치들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쿠릴열도는 일본 홋카이도와 러시아 캄차카반도 사이에 펼쳐진 1300㎞에 달하는 도서군으로,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이 가운데 쿠나시르, 이투루프, 하보마이 군도, 시코탄 등 열도 남단 4개 섬을 ‘북방영토’라 부르며 러시아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작년 2월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후 서방 제재에 적극 동참하는 일본과 관계가 악화하자 올해 들어 쿠릴열도 남단 4개 섬에 학교 등을 짓고, 쿠릴열도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도 수립하는 등 실효적 지배 조치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쿠릴열도에 해안 방어 미사일 시스템 등을 배치해 군사 주둔도 강화했으며, 적 침투를 가장한 군사훈련 또한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