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타워 인수 포기…미중 갈등 심화에 ‘반도체 M&A 시대’ 끝났나

인텔, 타워 인수 포기…미중 갈등 심화에 ‘반도체 M&A 시대’ 끝났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8-17 17:23
업데이트 2023-08-17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서울신문 DB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서울신문 DB
미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기업 인텔이 이스라엘의 반도체 파운드리(수탁생산) 업체 ‘타워세미컨덕터’(타워) 인수를 결국 포기했다. 중국의 첨단기술 굴기를 차단하려는 미국에 앙심을 품은 베이징 반독점 당국이 인수를 끝까지 승인하지 않은 탓이다. 일각에서는 미중 갈등 심화로 더 이상의 반도체 인수·합병(M&A)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인텔은 지난해 2월 타워 측과 체결한 54억 달러(약 7조 2000억원) 규모의 인수 계약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등 첨단기술 기업 M&A시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 등 이해 당사국 반독점 기관의 심사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두 회사는 주요국 승인에 1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해 계약 기한을 올해 2월 15일로 설정했지만, 유독 중국 시장규제관리국(SAMR)이 인가를 하지 않아 기한을 6월 15일과 8월 15일로 두 차례 연장했다. 그럼에도 중국 SAMR이 꿈쩍도 하지 않자 인텔은 ‘베이징은 이 거래를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합병 계약 종료를 선언했다.

인텔의 타워 인수는 대만 TSMC가 장악한 파운드리 시장에서 발판을 마련하려는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CEO)의 승부수였지만 시작부터 꼬여 버렸다. 인텔은 타워 측에 3억 5300만달러의 위약금을 지불하고 계약을 종료할 예정이다.

이스라엘에 본사를 둔 타워는 자국과 미국 나스닥에 동시 상장돼있다. 자동차와 의료·산업용 장비 등 레거시 공정(옛 기술) 반도체를 생산한다.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타워의 점유율은 1% 정도로 크지 않다. 인텔이 타워를 인수해도 독과점 시비가 벌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된다. 그럼에도 중국 반독점 규제 당국이 이번 인수 거래를 승인하지 않았다. 시장 논리 이외에 다른 변수가 감안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인텔의 타워세미컨덕터 인수를 상징하는 그래픽. 바이두 캡처
인텔의 타워세미컨덕터 인수를 상징하는 그래픽. 바이두 캡처
2021년 중국계 사모펀드 ‘와이즈로드캐피털’은 한국 시스템반도체 업체 매그나칩반도체를 14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미국이 ‘국가안보에 위험이 된다’며 반대 의사를 밝혀 거래를 무산시켰다. 인텔에 대한 중국의 ‘몽니’는 2년 전 미국의 압박에 대한 ‘장군멍군식’ 대응으로 해석된다. 미중 양국 모두 패권 경쟁 심화로 ‘네가 잘 되는 꼴은 못 보겠다’는 식의 감정싸움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업계에서는 2021년 12월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반도체 분야 빅딜은 없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모두 상대국 기업들의 M&A 승인을 늦추거나 보류하는 전략을 써 거래를 무산시킬 것으로 보여서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