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 위기 진원지 헝다, 美법원에 파산보호 신청

中 부동산 위기 진원지 헝다, 美법원에 파산보호 신청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23-08-18 10:28
업데이트 2023-08-18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부동산 위기의 진원지인 유명 부동산개발업체 에버그란데(중국명 헝다)가 미국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헝다그룹은 파산보호 신청서에서 홍콩과 케이맨제도에서 진행 중인 구조조정을 언급했으며 계열사 징청(시너리저니) 산하의 톈지홀딩스도 이날 함께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는 약 2년 전 채권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리는 등 중국 부동산 위기의 출발점이다. 헝다의 디폴트 문제는 지금도 해결되지 않고 진행 중이다.

헝다의 디폴트 위기 이후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인 시마오그룹 등 수많은 중소 부동산 개발사가 디폴트 처리됐다. 최근에는 컨트리 가든(중국명 벽계원)이 디폴트 위기를 맞고 있다.

헝다는 외국계 기업이 회생을 추진할 때 미국 내 채권자들의 채무 변제 요구와 소송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하도록 규정한 파산보호법 15조(챕터 15)에 따라 신청서를 냈다.

헝다 그룹은 채권자들로부터 채무 변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헝다는 아직 국내에서는 파산보호 신청을 하지 않고 있다. 이번에 뉴욕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은 해외 채무부터 조정하려는 목적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한때 헝다는 중국의 1위 부동산개발업체였다. 그러나 문어발 경영을 하다 2조 4370억 위안(약 447조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부채로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2021년 9월 만기채권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한 채 디폴트를 선언하며 활로를 모색해 왔다.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약 2%에 해당한다.

중국 아파트 중 헝다가 만든 게 40%를 넘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디폴트 위기 전까지 글로벌 500대 기업 중 하나이자 홍콩 증시의 주요 기업이었다. 중국 남부 중심 도시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직원은 약 25만명이다.

중국에서 최고 부자로 손꼽히던 쉬자인(65)이 설립했다. 한때 중국 280개 이상의 도시에서 13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너무 잘나가자 전기자동차, 스포츠 및 테마 파크, 생수, 식료품, 유제품 사업 등에도 진출한 게 탈이었다.

특히 2010년 ‘광저우 에버그랜드’로 알려진 프로 축구팀을 인수했으며, 축구학교도 설립했다. 수용인원 10만명 이상의 세계 최대 축구장을 건설하기 위해 17억 달러(약 2조원)를 투입하는 등 실로 방만한 경영을 일삼았다.
이미지 확대
“파산 신청이오”
“파산 신청이오” 미국 뉴욕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낸 중국 펑다그룹. 서울신문 DB
디폴트 위기 이후 홍콩증시의 주요 종목이었던 이 회사의 주식은 지난해 3월 21일 이후 거래가 중지됐다. 지난달 주식시장 보고서에서 2021년과 2022년 810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송한수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