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이상해도 참았는데”…‘친환경’ 종이빨대, 반전 연구 결과

“맛 이상해도 참았는데”…‘친환경’ 종이빨대, 반전 연구 결과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08-26 10:47
업데이트 2023-08-26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플라스틱 빨대만큼 인체·환경에 유해”

이미지 확대
스타벅스에서 쓰는 종이빨대. 서울신문DB
스타벅스에서 쓰는 종이빨대. 서울신문DB
스타벅스 등 유명 커피전문점들이 ‘친환경’을 내세워 앞다퉈 종이 빨대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에서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 빨대만큼 인체나 환경에 유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벨기에 연구진은 자국에서 유통되는 39개 친환경 빨대 브랜드 제품을 상대로 과불화화합물(PFAS) 함유 여부를 검사했다고 25일(현지시간) 독일 dpa 통신이 보도했다.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PFAS는 자연적으로는 잘 분해되지 않는 데다 인체나 동식물, 환경에 유해해 세계 각국에서 속속 규제를 추진 중인 물질이다.

연구진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분석에서 이들 39개 브랜드 중 27개(69%)에서 PFAS를 검출했다고 밝혔다. 확인된 PFAS는 모두 18종으로 특히 종이 빨대는 20개 제품 중 2개를 제외한 나머지 18개(90%)에서 모두 PFAS가 나왔다.

다른 19개 제품 중 대나무가 5개 중 4개(80%), 플라스틱 빨대가 4개 중 3개(75%)에서 PFAS가 검출됐고, 유리 빨대는 5개 중 2개(40%)에서 해당 물질이 나오는 데 그쳤다. 스테인리스스틸 빨대에선 PFAS가 아예 검출되지 않았다.

종이 빨대. 해당 제품은 이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123RF 제공
종이 빨대. 해당 제품은 이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123RF 제공
벨기에 앤트워프대학 티모 그로펜 교수는 “미국에서 널리 쓰이는 식물 성분 빨대에서 PFAS가 검출된 것을 계기로 벨기에 내 슈퍼마켓과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빨대의 실상을 확인했다”면서 “종이 빨대의 PFAS 검출 비율이 높은 것은 방수 코팅에 해당 물질이 쓰였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가장 많이 검출된 PFAS인 과불화옥탄산(PFOA)의 경우 이미 2020년부터 사용이 금지된 물질이며, 이밖에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FA)과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산(TFMS) 등 아주 짧은 시간에 물에 잘 녹는 PFAS로 분류되는 물질도 있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빨대에 함유된 PFAS가 실제로 음료에 얼마나 녹아 나오는지는 이번 연구에서 직접 다루지 않았다. 연구진은 “대다수의 사람은 가끔만 빨대를 사용하는 만큼 이런 빨대의 인체 유해도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로펜 교수는 “그 자체로는 해가 없을 적은 양의 PFAS라도 이미 체내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에 따른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면서 “종이나 대나무 등 식물 기반 재료로 만든 빨대는 종종 플라스틱 빨대보다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라고 선전하지만, PFAS가 든 빨대의 존재는 이런 광고가 꼭 진실은 아닐 수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