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포커스] 웃기 힘든 호박 등불… 美시민 86% “핼러윈 지출 줄인다”

[위클리 포커스] 웃기 힘든 호박 등불… 美시민 86% “핼러윈 지출 줄인다”

입력 2013-10-28 00:00
업데이트 2013-10-2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완의 재정협상 탓 소비 위축… 성탄절 특수·GDP에도 ‘암운’

마녀와 해골로 분장한 아이들의 사탕 얻기 놀이, 집집이 걸린 호박 모양의 도깨비 ‘잭오랜턴’(그림) 행렬. 서양의 대표적인 축제인 핼러윈 데이(10월 31일)에 등장하는 이런 화려한 풍경을 올해 미국에서는 빈번하게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미완의 합의로 끝난 재정협상 여파와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경기 탓에 가장 먼저 여가활동에 들어가는 씀씀이를 줄이려는 소비자의 심리 때문이다. 특히 핼러윈 기간의 쇼핑 매출 동향은 추수감사절(11월 17일)과 크리스마스(12월 25일)로 이어지는 ‘미국 최대 쇼핑시즌’(블랙 프라이데이)의 성패를 가름하는 잣대라는 점에서 소비위축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7일 포브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최대 소매업 협회인 전미소매협회(NRF)가 최근 설문조사한 결과, 이번 핼러윈 데이에 지출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미국인은 86.1%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올해 핼러윈 기간에 미국의 가구당 평균 지출은 75.03달러(약 7만 9700원)로 지난해보다 6%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이번 핼러윈 연휴에 쇼핑하겠다고 응답한 시민도 1억 5800만명으로 전년에 비해 1200만명이나 줄었다. 웬만해서는 지갑을 닫지 않는 아이들 먹거리에도 신경을 쓸 만큼 미국인의 소비심리가 위축됐다는 증거로 풀이된다.

사탕이나 캐릭터 분장에 기껏 얼마나 돈이 들까 싶지만 지난해 핼러윈에 미 소매점에서 팔린 핼러윈 직접 관련 물품만 80억 달러(약 8조 5000억원)에 달한다.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였던 재정지출 삭감(시퀘스터) 규모가 875억 달러(2013년 기준)인 것을 고려하면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 이번 핼러윈 예상 소비액이 69억 달러까지 축소될 것으로 전망돼 올해 국내총생산(GDP) 수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매튜 셰이 NRF 대표는 “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연휴이자 (소매업자들이) 1년 중 가장 기대하는 핼러윈 특수도 올해는 예외”라면서 “재정위기 가능성이 내년 2월로 다시 임박한 데다 당분간 일자리 지표가 나아지지 않는 한 소비 위축 분위기는 크리스마스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10-28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