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우방들, 美 정보력에 의존하잖아”

힐러리 “우방들, 美 정보력에 의존하잖아”

입력 2013-10-29 00:00
업데이트 2013-10-29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1개국 도청 비난결의 추진 속 혜택 공유 지적하며 해명 나서

미국 정보 당국이 외국 정상들의 휴대전화까지 도·감청한 의혹이 제기돼 국제사회 비난이 커지는 가운데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우방들이 자국 안보를 위해 미국의 정보력에 의존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뉴욕주 콜게이트대학에서 연설을 통해 “미국의 우방들이 자국의 국가안보를 위해 미국의 정보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종종 (정보 수집) 파트너가 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안보 관련 정보는 전체적인 맥락이 아니라 조각조각 단편적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모든 것을 설명하거나 이해시키지는 못한다”고 했다.

미국이 광범위하게 수집한 정보를 우방국들이 공유함으로써 혜택을 입는 측면도 있으니 미국을 비난만 할 건 아니라는 해명으로 읽힌다. 클린턴 전 장관은 “국제사회는 이 문제와 관련해 차분한 분위기에서 완전하고 포괄적인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도청 파문과 관련한 유엔 차원의 대책 논의에 20개국 이상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에 따르면 지난 25일 뉴욕에서 열린 ‘온라인 인권 보호에 대한 유엔 결의안’ 초안 작성 회의에는 독일과 브라질을 포함해 모두 21개국이 동참했다.

참가국 가운데는 쿠바나 베네수엘라와 같이 미국에 적대적인 국가도 있지만 프랑스와 멕시코 등 전통적인 우방도 포함됐다. 또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볼리비아, 에콰도르, 가이아나,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파라과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스웨덴, 스위스, 우루과이 등 각 대륙의 국가들이 고루 참가했다.

초안에는 ‘미국’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진 않았지만 유엔 회원국에 ‘역외 감시활동’에 대한 법적 검토를 요구하도록 규정해 사실상 미국 정보기관을 겨냥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10-29 1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